석유공사가 울산시 등과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 오일허브’ 사업이 자칫 혈세만 낭비하는 실패작이 될 것이란 우려가 제기됐다. 이 사업은 무려 2조원이 넘게 소요되는 사업이다.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우제창 의원은 9일 한국석유공사 국정감사에서 “이 사업의 전제인 석유시장의 규모가 과대 포장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석유공사가 발표한 오일허브 사업의 최종 용역보고서에는 2030년까지의 석유소비와 생산 등 시장규모가 지역별, 국별로 언급돼 있다.
우 의원은 "보고서의 근거가 된 미국에너지정보청(EIA) 작년도 자료와 올해 자료를 비교해 보니 1년 사이에 2030년 세계 석유소비량이 크게는 7%까지 줄어드는 것으로 전망이 바꼈다“고 언급했다.
세계 각국이 석유 등 화석연료의 소비를 줄이고 녹색성장을 추구하는 점을 생각할 때 석유소비 전망은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우 의원은 “10년 후 2030년의 석유소비량을 추정하면 현재(300만 배럴)의 절반 수준인 150만 배럴로 떨어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울산 사업에 대한 한국개발연구원(KDI) 공공투자관리센터의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가 공개되지 않고 있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KDI측이 사업의 경제성을 평가하면서 석유공사가 제시한 자료만 썼더라”면서 “객관성이 대단히 의심스럽다”고 평가했다.
또 “동북아 금융허브를 추진하면서 설립된 금융공사가 만성적자로 어려움에 빠졌다”고 전하며 “오일허브가 이런 모습이 되지 않기 위해서라도 기초부터의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에 강영원 석유공사 사장은 “좀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바로세우겠다”고 답했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