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과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 제2금융권에서는 100% 보장 실손보험 상품을 한시적이긴 하지만 여전히 판매 중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14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의 개인의료보험 제도 개선에 따라 민영 손해보험사의 실손보험은 보장 한도가 이달부터 100%에서 90%로 축소됐고 갱신 주기가 3년으로 통일됐지만 유사 보험으로 불리우는 공제 보험에는 아직 적용이 안 됐다.
이들 공제 보험기관들은 조만간 민영 손보사와 같은 기준이 적용되는 상품과 시스템을 출시하기 위해 준비 중이지만 다소 시차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농협은 화재보험 등에 입원의료비와 통원의료비 특약을 추가하는 형태로 실손보험을 팔고 있는데 입원 치료비 보장 한도가 종전과 같이 100%로 유지되고 있다.
이 상품은 확정형이므로 갱신형처럼 갱신 주기마다 보험료가 변동되거나 하지 않는다.
농협 관계자는 "내년은 돼야 한도가 90%로 낮아진 상품을 출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 역시 보장한도 100%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갱신 주기는 5년이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되도록 빨리 새로운 상품을 내놓을 계획이지만 시기는 미정"이라고 말했다.
수협에도 아직 100% 보장 실손상품이 남아있으며 갱신 주기는 10년이다. 지금 가입하면 갱신이 되더라도 보장 한도 등은 지금과 같이 적용받는다.
수협 관계자는 "차세대 전산 시스템 도입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준이 적용되는 상품 출시 시기를 못박기 어렵다"고 말했다.
신협은 종신보험을 가입할 경우 특약을 통해 입원의료비를 보장하는 상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갱신 주기는 3년이고 갱신 시점에 보장 한도가 100%에서 90%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신협 관계자는 "당초 다음달에 출시할 계획이었지만 작업이 늦어져서 2월에나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역시 공제보험인 우체국의 경우는 이달 하순께 새로운 표준방안에 따르는 상품 출시를 앞두고 기존 100% 보장 상품 판매는 일단 중단했다.
공제보험 한 관계자는 "고객들이 잘 몰라서인지 민영 손보사와 마찬가지로 10월 들어서는 가입이 상당히 줄었다"고 말했다.
보험업계 한 관계자는 "100% 보장하는 기존 상품에 가입하고 싶은 소비자라면 공제보험을 찾는 것도 한 방법"이라며 "다만 10월 이후에는 손보사 실손보험끼리 뿐만 아니라 공제와 손보사 상품간에도 비례보상 되기 때문에 중복가입할 필요는 없다는 점은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