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기술력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우리나라의 바이오 제품이 유럽에서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15일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 6~8일 3일간 독일 하노버에서 열린 '하노버 생명공학박람회(Biotechnika 2009)'에 국내 19개 바이오 업체가 참가했다. 이는 아시아 국가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다. 일본의 경우도 단 2개사만이 참가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국내 업체는 의학, 바이오제조, 바이오식품, 농업 및 화학, 환경 등 주요 분야의 자사 신기술을 선보였다.
국내 바이오 제품에 대한 평가는 수출 계약으로 이어졌다. 실험기기 제조업체인 엔바이오텍은 독일과 일본 제품보다 크기는 작으면서도 내부온도 균일성은 높인 이산화탄소(CO2) 인큐베이터를 경쟁사보다 30% 싼 가격으로 출품해 현장에서 수출 계약을 성사시켰다.
자궁경부암 바이러스 진단용 킷을 제조하는 업체인 캐치바이젠 역시 경쟁사인 독일의 큐아젬 보다 가격은 최대 50%나 저렴하면서 성능은 향상시킨 제품을 선보여 주목을 받았다. 코트라 측은 시약과 검진시스템을 동시에 수출할 수 있는 중국과 남미 등 의료 취약국가에서 큰 인기를 끌 것으로 기대했다.
틈새 시장을 노린 신기술도 인기다.
바이오 환경업체인 다일생명공학은 바이오미생물을 활용해 원유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는 미생물 신소재와 기술을 선보였다. 이 업체는 토양 세정 분야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 독일 최대 기술연구소인 프라운호퍼(Fraunhofer)와 기술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배지(培地)를 생산하는 기산바이오텍의 경우 네덜란드와 미국으로 양분된 시장의 틈새를 노렸다. 3년전 자체 기술로 개발한 식물배지는 국내 시장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파키스탄, 태국 등 동남아 지역에도 수출중이다. 코트라는 브랜드 이미지만 보완한다면 내년 세계 시장에서 1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실험용 단백질 칩과 분석 장치를 제조하는 프로테오젼은 역발상적인 제품으로 성공한 대표적 사례다. 이 업체는 적은 양의 시약으로 많은 측정을 하는 기존의 정량단백질분석기술 대신에 많은 시약으로 적은 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는 정성분석기술을 채택, 가격은 60%나 낮추면서도 더욱 정확한 제품을 개발해 냈다. 여기에 IT 기술을 접목해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했다.
김평희 코트라 함부르크 센터장은 "한국의 바이오산업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며 "이 전시회를 해외 시장공략의 유용한 발판으로 적극 활용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