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현재 2000억원에 못 미치는 에너지절약전문기업(ESCO) 시장규모를 2020년까지 50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지식경제부는 2일 역삼동 한국기술센터에서 ESCO(에너지절약전문기업) 업계 간담회를 갖고 'ESCO 산업 활성화 방안'을 설명했다.
ESCO는 제3자의 에너지절약시설에 투자한 뒤 이 시설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절감액으로 투자비를 거둬들이는 기업을 말한다. 1992년 이 제도가 도입된 이후 현재 161개 업체가 여기에 등록돼 있으며 대기업 평균 매출은 71억원 정도에 달한다. 중소기업은 22억5000만원.
지경부는 우선 공공기관 에너지 소비 총량제의 실효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건축 연면적 1만㎡ 이상인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공공기관은 당해 연도 에너지소비량을 최근 2년간 평균 소비총량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현재 전국 800여개 공공기관에 적용되고 있으며 중앙청사는 최근 2년 평균 소비총량에 3%가 추가된다.
정부는 각 기관별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는 계량기를 설치하고 전기사용량을 측정해 매년 우수·미흡기관을 선정할 예정이다.
또 공공기관과 대학의 10년 이상 된 노후 건물을 대상으로 에너지 진단을 실시한 뒤 ESCO 사업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대기업이 중소 ESCO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민간 자금을 조달할 경우 정책자금을 우선 지원하고 ESCO에 대한 지원 한도액은 현행 270억원에서 500억원 규모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ESCO 사업 범위도 에너지절약 시설투자사업에서 이산화탄소 저감시설과 신재생에너지 시설설치사업으로 확대키로 했다.
김정관 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세계적으로 에너지 정책의 초점이 수요 관리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다"며 "앞으로 에너지 절약시장의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투자를 늘려 ESCO 산업을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