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om in) 엔화대출 사태..'김종창 해법' 나오나

엔화표시 외화자금 대출과 관련해 환율 상승과 은행권의 부당한 가산금리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 수장이 이를 직접 챙기기로 해 주목을 끌고 있다.

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김종창 원장은 6일 엔화대출자들의모임(엔대모) 대표자들을 만날 계획이다.

김 원장은 엔대모 대표자들을 만나 3년 전에 비해 이자 부담이 4배 넘게 불어난 것에 대한 자초지종과 은행들의 금리 결정 시스템에 대한 불만을 들을 것으로 알려졌다.

엔대모가 250명의 회원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들이 대부분 대출을 받았던 2006년 적용 금리는 연 2.51%였지만 최근 연 6.51%로 급등했다. 평균 2.5배 이상 금리가 오른 것이다.

이들이 모두 2187억원을 대출받았다는 사실과 원ㆍ엔 환율 상승을 감안하면 연 이자 부담은 같은 기간 55억원에서 234억원으로 4배가 넘게 늘어났다.

엔화대출이 급격히 늘어났던 2005년 말부터 원ㆍ엔 환율은 700~800원대에서 최근 1300원대로 2배 가까이 오른 상태다.

문제는 은행들이 부적절한 방법으로 가산금리를 적용했다는 불만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다. 엔대모 측은 은행이 지나치게 높은 가산금리를 적용해 144억원의 추가 이자 부담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근 국정감사에서도 엔화대출 피해 문제가 다뤄지는 등 정치권에서도 이슈로 떠올랐다.

국회 정무위원회 박상돈(자유선진당) 의원은 "은행권의 엔화 대출 경쟁이 심화되면서 위험이 제대로 설명되지 않는 등 불완전 판매 의혹이 있다"면서 "엔화 대출의 조달 금리와 대출 금리의 결정 구조를 공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김종창 원장이 직접 나선 것도 환율이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엔화 대출과 관련된 피해가 줄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현재 엔대모 측과 미팅 참석 인원을 비롯해 논의 주제에 대해 의견을 조율 중"이라면서 "국정감사 이후 당국의 관심이 커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엔대모 측이 개별적인 피해에 대해서도 토론을 원하고 있다"면서 "전체적인 흐름을 읽고 대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한편 엔대모는 지난 3월 시중은행들을 상대로 설명의무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와 부당한 금리인상에 따른 이득 반환을 요구하며 엔화대출 관련 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소장에는 신한은행을 비롯해 하나ㆍ국민ㆍ우리ㆍ외환ㆍ씨티ㆍ기업ㆍ광주ㆍ경남은행과 수협 등이 피고로 지목됐다.

아주경제=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