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외환보유액 2700억달러 무난

유동외채까지 감당 가능..3000억달러로 확충 주장도
 
올해 들어 한국의 외환보유액이 급증하면서 연말까지 2700억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4일 기획재정부 등 관계기관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로 한때 2000억달러 선 붕괴우려가 나왔던 외환보유액이 10월말 기준으로 2642억달러로 집계됐다.

작년 11월과 비교해 600억달러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불과 1년도 안돼 역대 가장 많은 외환을 보유하게 된 것이다.

정부는 사상 최대 무역수지 흑자 등으로 연말까지 2700억달러 보유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어 틈만 나면 제기됐던 `충분한 외환보유액 논쟁'을 상당 부분 해소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적정한 외환보유액은 사람마다 다르지만 대체로 ▲3개월 경상지급액 ▲단기외채 ▲유동외채 ▲외국인 주식·채권 투자액의 30% 등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우리나라가 외국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수입하는데 필요한 외화의 규모인 3개월 경상지급액은 975억달러이다. 또 지난 2분기말 기준으로 만기 1년 미만의 단기외채는 1473억달러, 장기외채 중 만기가 1년 미만인 채권까지 포함한 개념인 유동외채는 1700억달러 안팎이 된다.

다시 말해 급박한 경제위기 상황이 생기더라도 3개월 경상지급액과 유동외채 상환에 필요한 2700억달러와 맞먹는 외환보유액을 갖게 된다는 말이다.

하지만 외국인 주식·채권 투자액의 일정 부분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1997년과 2008년 경제위기 때 외국인 투자자금이 급격히 유출됐던 경험에 대비하기 위해 이들 투자액의 30%가량은 보유액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외국인 투자자금은 대략 3000억달러 수준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1000억달러 정도가 더 필요하다는 주장인 셈이다.

국제금융학회는 지난달 창립 세미나에서 이들 모든 요소를 고려한 적정 외환보유액이 지난 3월말 기준으로 3097억달러라는 주장을 내세운 바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적정 보유액은 사람마다 주장이 다른데다 정부 입장에서 어느 정도가 적정하다고 말할 수 없다"며 "위기시 대응할 수 있는 외환을 정부가 충분히 보유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sh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