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황에도 불구하고 국세 수입이 전년대비 2.9% 증가세를 보이면서 대기업 본사가 밀집해 있는 남대문세무서가 4년 연속 세수 실적 1위를 차지했다.
보석·골프용품 등의 개별소비세와 증권거래세는 곤두박질을 친 반면 주세는 급등세를 보였다.
8일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 수입은 총 157조5000억원으로 2007년(153조1000억원)에 비해 2.9% 증가했다.
이는 전년 대비 세수 증가율이 2005년 9.3%, 2006년 8.2%, 2007년 17.5%인 것과 비교하면 가장 낮은 수치다.
국세 수입은 2004년 110조2000억원, 2005년 120조4000억원, 2006년 130조3000억 원, 2007년 153조1000억원 등으로 증가했다.
세목별로는 부가가치세(43조8000억원), 법인세(39조2000억원), 소득세(36조4000억원) 등 3대 세목이 119조3000억원으로 전체의 75.8%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교통에너지환경세가 11조9000억원(7.6%), 개별소비세 4조5000억원(2.9%), 교육세 4조2000억원(2.7%), 주세 2조8000억원(1.8%), 증권거래세 2조8000억원(1.8%), 종합부동산세 2조2000억원(1.4%) 등으로 집계됐다.
이중 큰 세목인 부가세는 7.0%, 법인세는 10.6% 증가했고 소득세는 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 침체를 반영하듯 증권거래세와 개별소비세는 많이 감소하고 주세는 상당히 증가했다.
공모펀드의 증권거래세 면제 등 세제 혜택에도 증권거래세가 전년보다 19.6%가 감소했고 보석, 골프용품 등 고가 제품에 붙는 개별소비세는 12.8% 줄었다.
반면 경기 부진에 따른 생활고를 반영한 탓인지 술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주세는 25.1%나 증가했다.
세무서별 세수 실적을 보면 서울 중구 일부 지역을 담당하는 남대문세무서가 전국 107개 세무서 중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남대문세무서의 세수 실적은 10조8000억원으로 전국 세수의 6.9%를 차지하고 서울에서는 19.4%에 해당한다.
이는 남대문세무서 담당 지역에서 대기업 본사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으로 이 세무서는 소득세(3조2000억원), 법인세(6조3000억원), 종부세(2000억원) 모두 전국 1위에 올랐다.
남대문서 다음으로는 증권사 본점이 몰려 있는 영등포세무서가 8조8천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이 세무서는 2004년에는 남대문서를 제치고 전국 1위였다.
3위는 7조332억원의 세수 실적을 올린 울산세무서로 1~3위는 지난해와 순위가 같다.
그 다음으로 여수세무서(4조4000억원), 경기 성남세무서(4조3000억원), 서울 삼성세무서(4조2000억원), 서초세무서(3조4000억원) 등의 순이었다.
전국에서 세수 실적이 가장 낮은 곳은 경북 영주세무서로 13억원에 머물렀다. 남대문세무서와는 약 8600배 차이다.
뒤이어 해남세무서(136억원), 영덕세무서(429억원), 거창세무서(479억원), 남원세무서(528억원) 등의 순으로 적었다.
시·도별로는 서울의 세수 실적이 55조7000억원으로 전체의 35.4%에 달했고 이어 경기 17조1000억원(10.9%), 울산 8조3000억원(5.3%) 순이었다.
서울·경기·인천 수도권 세수는 76조7000억원으로 거의 절반인 48.7%를 차지했다.
세수 실적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4000억원)로 전체 세수의 0.2%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1조3000억원(0.8%)을 거둔 전북이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