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세수 증가율 2.9%...주세는 크게 증가

지난해 경기침체의 여파로 국세 수입이 2.9% 증가하는 데 그쳐 최근 수년간 세수 증가율 가운데 가장 낮았다.

특히 보석·골프용품 등에 붙는 개별소비세와 증권거래세는 크게 감소한 반면 주세는 크게 증가했다.

8일 국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세 수입은 총 157조5000억원으로 2007년(153조1000억원)에 비해 2.9% 증가했다.

이는 전년 대비 세수 증가율이 2005년 9.3%, 2006년 8.2%, 2007년 17.5%인 것과 비교하면 가장 낮은 수치다.

국세 수입은 2004년 110조2000억원, 2005년 120조4000억원, 2006년 130조3000억 원, 2007년 153조1000억원 등으로 증가했다.

세목별로는 부가가치세(43조8000억원), 법인세(39조2000억원), 소득세(36조4000억원) 등 3대 세목이 119조3000억원으로 전체의 75.8%를 차지했다.

그다음으로 교통에너지환경세가 11조9000억원(7.6%), 개별소비세 4조5000억원(2.9%), 교육세 4조2000억원(2.7%), 주세 2조8000억원(1.8%), 증권거래세 2조8000억원(1.8%), 종합부동산세 2조2000억원(1.4%) 등으로 집계됐다.

이중 큰 세목인 부가세는 7.0%, 법인세는 10.6% 증가했고 소득세는 6.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 침체를 반영하듯 증권거래세와 개별소비세는 많이 감소하고 주세는 상당히 증가했다.

공모펀드의 증권거래세 면제 등 세제 혜택에도 증권거래세가 전년보다 19.6%가 감소했고 보석, 골프용품 등 고가 제품에 붙는 개별소비세는 12.8% 줄었다.

반면 술 소비량이 늘어나면서 주세는 25.1%나 증가했다.

이와 함께 서울 중구 일부 지역을 담당하는 남대문세무서는 전국 107개 세무서 중 4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남대문세무서의 세수 실적은 10조8000억원으로 전국 세수의 6.9%를 차지하고 서울에서는 19.4%에 해당한다.

남대문세무서가 1위를 차지한 것은 대기업 본사가 이 지역에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남대문세무서에 이어 영등포세무서는 8조8000억원을, 울산세무서는 7조332억원을 걷었다. 

아울러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세수는 76조7000억원으로 전체 세수의 48.7%를 차지했고 세수 실적이 가장 낮은 곳은 4000억원(0.2%)을 걷은 제주였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