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 사할린 한인 공동묘지 확인작업
일제시대에 사할린 지역으로 강제동원된 한국인들의 묘지가 정부 차원의 조사에서 처음 확인됐다.
국무총리 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는 2007년 7월부터 올 여름까지 3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해 사할린 지역의 조선인 묘지 580기를 찾아내 이 가운데 125명의 유족을 찾아냈다고 15일 밝혔다.
정혜경 조사 2과장은 "사할린에서 한인이 묻혀 있는 것으로 확인된 공동묘지를 조사해 신원이 확인된 580기의 한인 묘지를 찾았다"며 "이들 중 소수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강제동원 피해 희생자들"이라고 말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단독으로 해외 지역의 강제동원 피해 사망자나 유해에 대해 현지조사를 벌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특히 사할린 지역은 민간차원에서도 유해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었다.
위원회는 사할린 지역에서 한인이 묻힌 곳으로 확인된 21개 공동묘지를 찾았으며 전체 묘지 면적의 2%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 현지 조사를 마친 상태다.
이번에 확인한 580기의 묘지는 주로 유즈노사할린스크와 브이코프 지역에서 찾아낸 것으로 이 일대에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탄광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 과장은 "사할린 지역에 강제동원되었다가 해방 후 귀국하지 못하고 현지에 묻힌 피해자는 대략 4만여명으로 추정된다"며 "이들 대부분은 당시 탄광이나 벌채장, 토목공사 등에 강제동원된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그는 "여력이 되는 한 전수 조사를 벌일 계획이나 조사보다 더 중요한 게 유족을 찾아내는 것"이라며 "묘비에 이름이나 본적지가 있는 사람은 상대적으로 찾기가 수월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어 유족 확인 작업이 힘들다"고 설명했다.
정 과장은 "조사와 유족 확인 작업을 병행하는게 앞으로의 계획"이라며 "유족이 확인되는 대로 유골 봉환 문제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연합
아주경제=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