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미쓰비시 상사가 우리나라 기업과 합작법인을 꾸려 전라북도 군산자유무역지역내에 2000억원 규모의 합작투자를 한다. 이를 위해 미쓰비시는 10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한다.
지식경제부 군산자유무역지역관리원은 16일 일본 도쿄 힐튼호텔에서 일본 미쓰비시상사와 국내 업체인 삼양사를 비롯한 전라북도, 군산시 등과 함께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공동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미쓰비시상사와 삼양사는 합작법인으로 삼양이노켐을 설립하고 지경부가 관할하는 군산자유무역지역내에 2011년까지 2000억원을 투입하고 향후 6000억원으로 투자금액을 늘릴 계획이다.
미쓰비시상사는 10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해 삼양이노켐의 지분 20%를 보유하기로 했다.
삼양이노켐은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비스페놀-A(BPA)를 연간 15만t 이상 생산하게 된다.
BPA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의 핵심원료로 시장규모는 지난해 기준 430만t에 달한다. 연평균 성장률 6% 이상이며 특히 아시아 시장은 매년 10% 이상 급성장하고 있다는 게 지경부의 설명이다.
앞서 삼양사는 미쓰비시화학과 합작 투자를 계획했으나 지난 2007년 11월 미쓰비시화학 가시마공장에 화재가 발생하면서 합작투자가 불투명해졌다.
이에 삼양사는 투자여력이 없는 미쓰비시화학으로부터 제조 기술을 도입하기로 하고 투자금은 계열사 미쓰비시상사로부터 받기로 한 것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번 투자 유치로 자유무역지역의 이미지가 좋아지고 외국인 투자 유치 활동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