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아프간 PRT' 실사단 현지 파견

정부가 아프가니스탄에 독립적인 지방재건팀(PRT)를 설치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병력을 파견한다는 방침에 따라 실사단을 현지에 파견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통상부는 17일 이용준 외교부 차관보를 단장으로 하는 정부합동실사단이 12∼17일 아프간 카불 등을 방문, 란긴 스판타 외교장관과 압둘 와르다크 국방장관, 굴람 포팔 지방행정위원회 위원장 등과 면담을 갖고 한국 PRT 설치 방안 및 지역 선정 등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실사단은 또 스탠리 맥크리스탈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국제안보지원군(ISAF) 사령관 및 실무진과 면담하고 우리 PRT의 역할 범위 및 이를 위한 NATO-ISAF 측과 관계설정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어 파르완주와 바미얀주 등 한국 PRT 설치 후보지역 중 일부를 방문, 현지 주지사를 비롯한 지방정부 관계자들과 PRT 부지 확보 및 향후 PRT 운영에 필요한 협조 방안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이번 면담에서 아프간 정부 및 파르완 주 인사들은 한국이 PRT 설치를 통해 농촌개발, 의료·보건 및 교육 등 분야에서 주민들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해 줄 것을 희망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ISAF 관계자들도 민간중심의 우리 PRT가 미래지향적이고 이상적인 PRT 모델로서 좋은 선례를 남길 것으로 평가하며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정부는 이번 실사단의 방문 결과를 토대로 국방부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등 관계부처 간 협의를 거쳐 외교안보조정회의에서 PRT 설치 지역, 민·군·경 요원 파견규모, 활동범위 등을 구체적으로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PRT 보호를 위해 파견될 경찰 및 군 경비병력의 종류와 규모는 PRT의 위치와 활동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관련, 유명환 외교부 장관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아직 검토할 게 많이 남아 대상지역을 발표하기엔 이르지만 후보지역으로 2∼3 군데를 검토 중"이라며 "현재로서는 바그람 기지가 위치한 파르완주가 가장 유력하다"고 밝혔다.

현재 파르완주는 미국 PRT가 운용되고 있으며 미군 바그람 기지가 설치돼있다.

유 장관은 또 정부의 파병동의안 국회제출 시기와 관련, "연내에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실사단은 이 차관보를 비롯해 최종문 외교부 남아시아태평양국장, 정연봉 국방부 국제정책차장 등 외교부와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관계기관 대표 15명으로 구성됐다.

아주경제= 정은선 기자 stop1020@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