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총리, 수정 논의 후 기업들 문의
정부, 주거용지 최대 7%P 축소키로
정운찬 국무총리는 18일 세종시 입주 추진 기업과 관련, "중견기업, 이름만 대면 금방 알만한 상당한 기업들이 오겠다며 90~95% 마음을 굳히고 있다"고 밝혔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오피니언 리더스클럽(OLC) 경제기자회' 초청 조찬간담회에서 "'행정부처만 가는 게 아니구나'라는 인식을 가져서 (세종시로) 오려는 기업들이 생기더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총리는 "상당히 오랫동안 국내외 기업들과 접촉했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국내외 기업들도 여럿 있다"면서 "그러나 MOU라는게 약속을 안 지켜도 상관없는 것이고, 실제로 투자에 나서겠다고 한 곳은 없었다"고 전했다.
그러나 세종시 수정 논의가 진행된 이후에는 "기업들이 땅값이 좀 비싸다. 다른 사람(기업)들도 들어오느냐"는 등 애로점을 문의하고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정 총리는 이와 함께 "여러 곳에 기업중심도시가 있고, 세종시에 특혜가 갈까봐 오해를 하시는 분들도 있다"면서 세종시에 대한 '기업중심도시' 표현을 자제할 것을 주문했다.
이날 열린 한국경제학회 회장단 오찬간담회에서도 세종시에 대한 논의는 이어졌다.
총 26명의 참석자들은 교육·과학이 중심이 돼 일자리를 만드는 '경제도시'에 찬성한다면서 "현재 안(案)대로는 자족도시의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정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해달라"고 당부했다.
충청출신의 한 교수는 "충청민이라고 해서 모두 원안에 찬성하는 것은 아니다"며 "지역에 따라 입장이 다르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 총리는 이에 "많은 경제학자분들을 모셨는데 반대의견이 없어서 안심"이라며 "최대한 노력해서 명품도시로 만들겠다. 학자분들이 많이 지원해달라"고 했다.
정 총리의 행보에 발맞춰 정부는 세종시의 자족기능 용지를 20% 이상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주거 용지의 비율을 기존 21%에서 3∼7%포인트 축소하고 세종시의 절반을 차지하는 공원 녹지 비율을 52.9%에서 1∼3%포인트 가량 낮추기로 했다.
추가로 필요한 자족용지는 도로와 하수처리시설 등 기반시설 용지(21.9%)의 일부를 입주기업에 원형지(조성 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토지) 형태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주거 용지를 최대 7%포인트까지 축소키로 함에 따라 줄게 되는 주거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아파트의 층고를 높이는 등 용적률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세종시 원안의 주거용지는 전체 가용지의 65.3%에 달하고 인구밀도도 경기도 분당의 3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에 주거용지를 축소하더라도 계획한 50만 인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조석래 전국경제인연합회장은 이날 정부의 세종시 구상과 관련, "재계는 정부가 채찍질 한다고 간단히 움직이지 않는다"며 기업 이전설이 확산되는 것을 우려했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