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최악의 '딜'은?

경기침체가 기승을 부리면서 지난해부터 파격적인 '빅딜'이 잇따르고 있다. 금융위기의 진원지인 월가가 지각변동을 겪었는가 하면 미국 자동차업계도 부침을 겪으며 고전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유례없는 부양책을 쏟아내며 경기의 방향을 틀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성공한 딜도 있지만 실패로 낙인 찍힌 딜도 적지 않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은 17일(현지시간) 올해 최악의 딜 3가지를 꼽았다.

◇중고차 현금보상제도(Cash for Clunkers)
미국 정부는 지난 8월 말까지 한 달간 중고차를 폐차하고 연비가 좋은 새 차를 살 때 3500~4500 달러를 현금보상하는 제도를 시행했다. 시장에서는 공급과 수요, 일자리  창출은 물론 환경도 살릴 수 있는 '멀티 전략'에 대한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이 제도의 혜택은 엉뚱한 데로 쏠렸다. 미국에서 일자리 창출 공헌도가 토종기업만 못한 현대ㆍ기아차를 비롯한 외국기업들이 선전한 것이다.

중고차 현금보상제도는 생산량도 기대만큼 늘리지 못했다. 제도 시행 기간 늘어난 판매는 대개 재고창고에서 나왔다. 결국 일자리 창출 효과도 미미했다.

중고차 가격이 오른 것도 문제다. 중고차를 폐차하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중고차시장에서 저가 차량이 자취를 감춘 것이다. 이에 따른 고통은 주로 중고차시장에서 저가 차량을 구입하는 저소득층에게 돌아갔다.

◇씨티그룹 '파이브로' 매각
씨티그룹은 상품(에너지) 사업 부문인 파이브로(Phibro)를 최근 미국 석유기업 옥시덴탈페트롤리엄에 매각하기로 했다. 매각가격은 2억5000만 달러로 알려졌다. 씨티의 주 수익원치고는 너무 헐값에 팔렸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포춘은 미 정부 지분이 34%에 달하는 씨티그룹이 납세자들의 돈을 허공에 날렸다고 꼬집었다.

더 가관인 것은 파이브로를 매각한 이유다. 씨티가 파이브로를 매각한 것은 거액 연봉 논란에 따른 부담을 털어내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씨티는 파이브로의 상품 트레이더 앤드류 홀에게 1억 달러의 연봉을 지급하기로 한 것이 알려지면서 미 정부로부터 압력을 받아왔다.

포춘은 흐려진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대가치고는 너무 크다며 씨티는 채권자와 주주들을 기만했다고 비난했다.

◇부실자산구제계획(TARP)
미국 정부의 부실자산구제계획(TARP)은 부실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도입됐다. 그 규모만 7000억 달러에 달한다. 물론 미국인들이 낸 세금이다. 미 정부는 월가의 부실 금융기업에 TARP 자금을 지원하고 신주인수권(워런트)을 확보했다. 추락했던 주가가 반등했을 때 워런트를 행사하면 상당한 차익을 남길 수 있는 구조다.

문제는 자금 수혈로 되살아난 월가 은행들이 대거 구제금융을 상환하면서 워런트를 되찾아 갔다는 점이다. 이 은행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탔을 때다. 미 정부로서는 그만큼 손해를 본 셈이다.

구제금융을 상환하지 못한 채 파산하는 금융기관들도 손실 규모를 키우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TARP 자금을 지원 받고 파산한 은행이 27곳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로 인한 손실액은 51억 달러에 이른다. 중소기업 대출 전문은행 CIT가 이달 초 파산보호를 신청하면서 미 정부는 23억 달러를 고스란히 날리게 됐다.

포춘은 AIG그룹과 제너럴모터스(GM)의 금융자회사였던 GMAC 등도 아직 TARP 자금을 상환하지 않아 손실 규모는 더 늘어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아주경제= 김신회 기자 raskol@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