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각종 규제완화와 투자장려에도 대기업들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투자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 상장사협의회 등에 따르면 자산총액기준 10대 그룹 상장 계열사들의 지난 9월 말 현재 유보율은 사상 처음으로 1000%를 넘어선 1013.88%를 기록했다. 1년 전에 비해 83.82%포인트가 높아진 것이다.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2월 결산 10대 그룹 계열사 중 작년과 비교를 할 수 있는 65개사가 분석대상이었다.
잉여금을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인 유보율은 영업활동 혹은 자본거래를 통해 벌어들인 자금을 얼마나 사내에 쌓아두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이 비율이 높으면 통상 재무구조가 탄탄하다는 의미지만 반대로 투자 등 생산적 부분으로 돈이 흘러가지 않고 고여 있다는 부정적인 의미도 된다.
10대그룹 상장 계열사의 자본금은 24조7858억원으로 1년 전보다 0.03%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잉여금은 251조2천990억원으로 9.04%가 늘었다. 대기업들이 벌어들인 돈을 투자하지 않고 곳간에 쌓아놓으면서 잉여금이 자본금의 10배를 훌쩍 넘어선 셈이다.
이에 비해 10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상장사 493개사는 유보율이 550.51%로 1년 전보다 17.64%포인트나 낮아졌다. 자본금은 29조7270억원으로 4.65% 늘어난 데 비해 잉여금은 163조6485억원으로 1.41%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는 금융위기로 인해 순익이 줄어드는 등 경영난에 봉착한 중소기업들이 자금조달에 적극 나선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그룹별로는 포스코가 6073.34%로 가장 높았고 현대중공업(2147.92%), 삼성(1819.99%), SK(1738.39%) 등 순이었다.
10대 그룹 유보율은 외환위기 이후 꾸준하게 상승해 2004년 말 600%를 돌파한 데 이어 2007년 들어서는 700%대, 2008년 말에는 900%대에 올라섰으며 올해 3월 말에는 950%대에 육박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등 위기상황에는 대기업 유보율 상승이 위기를 버틸 수 있는 체력이 탄탄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경기회복과 고용창출을 위해 기업들의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자금여력이 있는 대기업들이 지나치게 높은 수준의 유보율을 유지하면서 투자를 외면하는 것은 책임을 저버리는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