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김광현 코스콤 사장은 'Paul Kim'이라는 이름의 미국 국적 소지자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장은 1980년대 IBM 재직 당시 미국으로 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 외국 출신 공공기관장으로는 지난 7월 임명된 독일 출신 이참(55) 한국관광공사 사장이 있지만 그는 1986년 귀화해 한국 국적을 가진 엄연한 한국인으로, 실제 외국 국적을 가진 공공기관장은 김 사장이 국내 최초다.
물론 법적으로 외국인이 공공기관장을 맡는 데 문제가 없다.
문제는 이런 사실을 김 사장 선임 당시 코스콤 사장추진위원회 일부 관계자 및 코스콤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도 최근까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데 있다.
코스콤 소수 관계자만 알고 있던 김광현 사장의 국적이 최근 배임수재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사장은 업체들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받은 혐의로 지난 2일과 19일 두 차례에 걸쳐 사전구속영장이 신청됐으나 모두 기각돼 현재 정상 출근중이다.
관련 업계 고위 관계자는 "이번 검찰 조사과정에서 김 사장이 미국 국적을 가진 사실을 처음 알게됐다"며 "코스콤 내부 고위 경영진 및 금융위원회 관계자들도 이 사실을 접하고 당황했다"고 말했다.
결국 코스콤 사장추진위원회의 사전 검증 능력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앞서 코스콤 사추위는 지난해 취임 열흘만에 자진사퇴한 정연태 전 사장의 선임 때도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정 전 사장은 당시 개인 파산 상태로 현행법상 회사 임원 자격에 미달됐음에도 불구 사추위는 이 사실을 파악 조차하지 못해, 정 전 사장이 낙하산 인사로 지목되면서 빈축을 샀다.
이에 코스콤 노동조합은 지난달 22일 성명서를 통해 "두 번씩이나 사장 관련 불미스러운 일을 겪게 만든 사장추천위원회의 존재와 능력에 대해 실망과 분노를 거둘 수 없다"며 "부패하고 무능한 낙하산 임원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일각에선 김광현 사장이 숨겨둔 낙하산 인사가 아니냐는 의심도 나오고 있다.
한 증권업계 관계자는 "기타공공기관인 코스콤은 형식상 민간기업이고 지난해 '공공기관 운영체계 개편방안'에 따라 정부의 직접 관리도 받지 않게 됐다"며 "그러나 대주주인 한국거래소가 준공공기관인 데다 코스콤 사추위에 통상 거래소 관계자가 포함돼 있어 사실상 정부의 입김이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코스콤은 한국거래소의 자회사로 2007년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됐다.
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