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다단계 판매‥“한탕주의 횡행”

2조원대 시장규모를 자랑하는 국내 다단계판매시장이 올해도 5%의 성장을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시장규모가 커지면서 다단계방식을 활용한 지능화된 사기 역시 늘어나고 있어 ‘다단계=사기·범죄’라는 인식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과거에 비해 다단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끊이지 않는 다단계 사기 피해로 인해 확고한 신뢰감을 심어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다단계업체의 영업 품목은 화장품, 건강보조식품 위주였지만 최근에는 인터넷TV(IPTV) 셋톱박스 개발, 전력사용 절감기 판매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진화 과정에서 불법 다단계 판매는 상품거래 대신 초단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보장한다며 투자를 유도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터무니없는 고액 배당(110~300%)을 내세워 영업하다가 일정기간이 지나면 잠적하는 방식으로 영업을 하고 있어 다수의 피해자를 양산하고 있다.

이 같은 불법방문판매 업체의 상술과 공제조합에 가입하지 않은 미등록 업체들의 한탕주의 영업방식이 최근 경제 불황과 맞물려 더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다단계라는 말 자체가 부정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주된 이유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다단계 판매는 상품을 거래하는 것이지만 불법다단계는 금융사기로 이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라며 “고수익 창출을 운운하며 투자를 권유하는 행위는 불법인 만큼 관련 조합이나 공정위 홈페이지에서 합법 업체인지 확인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합법적인 다단계판매는 백화점·대형마트·홈쇼핑·인터넷 쇼핑 등과 같은 합법적인 유통방식 중 하나다.

국내 정상적인 다단계업체는 11월 현재 총 68개로 이들은 소비자피해보상을 위해 직접판매공제조합(직판조합)이나 한국특수판매공제조합(특판조합)에 가입돼 있다.

직판조합에 가입된 업체수는 39개, 특판조합에 가입된 업체수는 29개로 이들 업체에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를 했을 경우 반품 보상은 물론 각종 피해보상을 보장 받을 수 있는 안전장치가 마련돼 있다.

특히 이들 다단계업체는 매년 공정거래위원회에 매출액·반품액·주요매출 상품·후원수당 등 주요정보를 공개하고 있다. 당연히 공정위의 관리 감독을 받고 있어 안전하다.

업계 관계자는 “합법적인 다단계 영업을 하는 회사는 물론 공정위도 불법다단계를 근절하기 위해 설명회, 백서 창간, 캠페인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주경제= 최용선 기자 cys467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