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는 2010년 전자세금계산서 의무사용에 맞춰 1년여 동안 준비한 민간 유통허브 서비스 사업을 내달부터 본격화한다고 23일 밝혔다.
전자세금계산서 유통허브는 내년부터 종이 세금계산서가 없어지게 되면서 기업과 기업간 가중돼왔던유통 체제를 원활하게 지원해 주는 서비스다.
현재 전자세금계산서를 여러 기업과 유통하기 위해서는 해당기업의 중계서비스(ASP)를 각각 가입해야만 했다.
하지만 삼성SDS의 유통허브시스템은 이런 불편 없이 다수 기업과 거래가 원스톱으로 가능하다.
또 고객이 이중 삼중의 ASP서비스 가입에 따른 요금 부담을 획기적으로 바꿔 크게는 30% 이상 경비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이 회사는 전자세금계산서 유통허브로 기업간 직접유통이 가능하게 돼 ASP 사업자간 활발한 교역을 촉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SDS 관계자는 “내년 1월 전자세금계산서 제도 시행 전까지 주요 ASP사업자들과 연계한 서비스를 고객들에게 제공할 계획”이라며 “유통허브 서비스의 조기 정착을 위해 일정기간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은진 기자 happyny77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