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간 회사별·모델별로 서로 달라 사용이 불편했던 휴대폰용 배터리가 내년부터 하나의 '표준'으로 통일된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별·교통수단별·사업자별로 호환성이 없었던 후불용 교통카드도 전국에서 호환 사용이 가능해진다.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은 23일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50개 생활표준화 과제를 선정, 2012년까지 개선해가는 ‘1250 친서민 생활표준화 계획’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표준’이 정해지지 않아 발생하는 불편함과 낭비를 없애기 위해서다.
앞서 기표원은 대국민 표준화 수요조사와 표준화 경진대회, 소비자 단체와 유관기관 협의 등을 거쳐 국민이 바라는 100개 표준화 과제를 발굴했다. 이중 시급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해 50개 과제를 최종 선정한 것으로 2012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해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친서민 생활표준화 계획의 세부적인 내용은 △편리한 사회 △건강한 사회 △미래사회 등 3대 분야로 구성돼 있다.
편리한 사회를 위한 표준화 분야는 가정 전용 리모컨 표준화, 모바일 기반 금융거래보안 표준화 등 생활 편의를 위한 표준화와 장례식장, 결혼식장 서비스와 같이 사회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표준화 과제들로 구성돼 있다.
건강한 사회를 위한 표준화 분야에는 도로교통시설, 방범자재 성능기준 표준화와 고령자·장애인용 생활제품 표준화, 의료기기 표준화 등이 포함돼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표준화를 비롯한 휴대폰 배터리 표준화, 음식 1인분 표준화 등은 미래 사회를 위한 표준화 분야에 속했다.
다만 휴대폰 문자입력 방식 표준화와 병원간 검사결과 공동 활용, 김치냉장고 보관용기 크기의 표준화 등은 여전히 관련기업과 특허권자 간의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과제를 추진 과제에 포함시켰다는 게 지경부의 설명이다.
지경부 관계자는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분야의 경우 표준화 추진 과정에서 이해당사자들이 충분한 협의에 도달할 수 있도록 공청회, 설명회 등을 통해 합의점을 찾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1960년대 산업육성이라는 초기 정책방향에 따라 산업과 기술중심의 표준을 집중적으로 제정해오다 2000년부터 국제표준화기구(ISO), 국제전기표준회의(IEC) 등 국제표준과의 부합화 과정에서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표준 일부가 도입된 바 있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