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자족기능 확충방안 논의

세종시에 국내외 22개 연구기관이 들어설 전망이다. 또 자율형 사립고와 공립고, 특목고, 마이스터고가 1개씩 우선 설립된다.

기업들을 적극 유치하기 위해 세종시 안에 국가산업단지·외국인투자지역 지정도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23일 정운찬 국무총리 주재로 세종시 민관합동위원회 2차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세종시 자족기능 확충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민관합동위에 보고된 내용에 따르면 정부는 해외 연구기관이 3개 정도가 세종시에 입주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협회 해외연구소를 유치하고 서울대 국제백신연구소, 포항공대 아태이론물리센터 이전을 추진 중이다.

국내 연구기관 가운데 이미 이전이 결정된 경제인문사회 분야 16개 기관 외에 국가핵융합연구소 제2캠퍼스, 연구개발인력교육원, 고등과학원 분원 설립 또는 이전도 검토되고 있다.

이번 회의는 세종시의 성격을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와 '첨단녹색지식산업도시' 중 어떤 것으로 할 것인지를 놓고 집중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조원동 세종시 실무기획단장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세종시의 성격과 관련해서는 대덕, 오송·오창 등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감안해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가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다수를 이뤘다"고 밝혔다.

도시의 상징성을 보다 분명히 한다는 의미에서 '첨단녹색지식산업도시', '창조산업도시', '과학도시'를 포함해도 되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제시됐다고 조 단장은 전했다.

또 행정부처 이관 여부에 대한 논의가 보다 분명해질 때까지 성격규정을 연기해야 한다는 주장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부는 이와 함께 세종시로 유치될 자족기능과 관련, △수도권으로부터 이전되는 기능 △그간 공론화되지 않았던 새로운 기능 △해외로부터 유치되는 기능으로 한정해 '제로섬'이 아닌 '플러스섬' 원칙을 준수키로 했다.

아울러 자족기능 유치여건을 조성하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유인을 제공하되 혁신도시, 경제자유구역, 기업도시 등 다른 성장거점 도시·지역과 형평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인센티브 수준을 결정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조 단장은 세종시의 구체적인 안과 관련, "현재 정부가 갖고 있는 안은 없다"며 "입주 기업이나 대학·연구기관에 대해 구체적인 인센티브를 줄 것이냐 말것이냐에 대해서도 아직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여러 군데에서 여러 안을 제시한 것을 1차적으로 수렴하는 것이 기획단이고, 민관합동위에서는 그 안으로 올려 토론하는 것일 뿐이다"며 "이에 대해 결론을 내리는 것은 정부"라고 덧붙였다.

민관합동위는 오는 28일 현지확인과 의견청취를 위해 대덕연구단지와 세종시 예정지역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다음 정례회의는 30일 오전에 개최된다.

아주경제= 이나연 기자 ny@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