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럼은 국내 전문가 30여명이 참여하여 2개 소위원회와 7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된다.
포럼은 앞으로 국제 워크숍 및 세미나를 비롯해 먹는물 중 유해미생물 현안과제 해결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등을 개최한다.
또한 세균, 바이러스 등 미생물의 위해성, 지하수 오염원인 규명, 안전한 먹는물 공급을 위한 처리기술 개발 등의 다양하고 종합적인 토의와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앞으로 포럼을 통해 국내·외 학술교류와 공동연구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미래지향적 기술개발로 국민 건강보호 및 국가정책 지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아주경제=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