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국내 자동차 생산 증가, 중국의 100분의 1"

6년 안에 한국의 국내 자동차 생산량이 인도에 밀려 세계 6위로 하락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6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자동차 산업 전망 보고서'는 자동차 생산 주요 17개국 중에서 우리나라가 올해 세계 5위 수준인 410대를 생산하겠지만 2015년에도 413만5000대 생산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현대·기아차와 르노 삼성, 지엠 대우 등 토종 회사 및 외국계 회사의 국내 생산량을 말하는 것으로, 현지국에서 생산한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OECD의 이런 분석은 국내에서 고용과 국내총생산(GDP)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 산업이 더이상 성장하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한국의 국내 자동차 생산 정체 현상은 전세계의 자동차 공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과 크게 대비된다.

중국은 올해 1150만7000대의 자동차를 생산해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2015년에는 1375만5000대 생산해 명실상부한 1위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됐다.

생산량 증가로 보면 우리나라가(3만5000대)가 중국(224만8000대)의 1.5%수준에서 머무는 것이다.

올해 1052만1000대 생산해 2위를 기록한 일본은 2015년 1039만9000대 생산으로 3위로 내려앉고, 대신 미국이 969만6000대에서 1087만5000대로 2위로 올라설 것으로 분석됐다.

독일은 올해 629만5000대에서 2015년 668만2000대로 증가해 4위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인도가 293만8000대에서 449만2000대로 크게 증가해 우리나라를 제치고 5위로 올라설 것으로 전망됐다. 

, 인도(155만4000대), 미국(117만9000대)이 1~3위를 차지하는 것이다.

이 밖에 멕시코(47만5천대), 독일(38만7천대), 영국(25만3천대)도 크게 증가하지만, 우리나라는 3만5000대 증가에 그쳤다.

국내 자동차 생산량 증가가 '미미'함에 따라 자동차 부문의 추가적인 경제성장 기여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들이 국내를 외면하고 해외에 공장을 짓고 있어 고용 및 경제 성장 제고에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주경제= 김종원 기자 jjong@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