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기관을 표방하는 저축은행들이 실제로는 강남 등 부자 동네로만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쏠림현상'이 업체 간의 과당 경쟁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가 높다.
30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서울 내 저축은행 영업 거점(본점, 지점, 출장소 포함) 126개 중 41개가 강남에 있다. 경기도의 경우 25개 중 절반에 달하는 13개가 분당에 몰려있다.
실제로 대형 저축은행들은 강남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분포해 있으며, 인근 회사원들을 고객으로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분당은 최근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한 지방 저축은행들이 잇달아 지점을 개설하고 있다.
대전저축은행은 분당 서현동에 지점을 개설했고 전주저축은행도 연내 신규 지점을 낼 계획이다. 예한울저축은행을 인수한 현대스위스저축은행도 지난 9월 분당에 지점을 냈다.
분당은 고액 자산가들이 밀집해 있는 베드타운(Bed town)으로 금융 수요가 많아 입점 열기가 뜨겁다.
반면 강북은 여·수신 수요가 강남이나 분당 등 부촌에 비해 떨어진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강북에도 저축은행 지점이 있지만 시장 논리를 따른다면 강남이나 분당으로 몰릴 수 밖에 없다"며 "주요 기업이 입주해 있고 상권이 발달한 부촌이 훨씬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강북이나 경기도 지역의 영업 거점은 주로 출장소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출장소는 여·수신 업무를 모두 취급할 수 있지만 지점보다 자본금이 50% 가량 저렴해 초기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총 42개의 출장소(여신전문출장소 포함) 가운데 26개가 서울 강북과 경기도(분당 제외)에 몰려있다.
저축은행들이 부촌으로 몰리는 데 대해 과당 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영업점 인가 신청이 접수될 때마다 강남 집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강북으로 유도하고 있다"며 "쏠림현상은 과당 경쟁을 불러올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업계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아주경제= 이미호 기자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