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아파트 경매시장의 위축세가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지역 경매 아파트의 평균 낙찰가율은 전월(86.37%)대비 0.12%p 하락한 86.25%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낙찰가율이 4.85%p(91.22%→86.37%) 떨어진 것에 비하면 위축세가 크게 둔화된 모습이다.
권역별로는 강남권아파트 낙찰가율이 88.33%로 지난달에 비해 2.11%p 하락하면서 3달만에 80%대로 내려갔다. 반면 지난 10월 DTI 충격으로 낙찰가율이 급락한(-7.17%) 비강남권아파트는 저가 매수세가 몰리면서 1.80%p 상승한 84.90%를 기록했다.
서울지역 전체 낙찰률도 29.81%로 전달(30.61%)에 비해 0.80%p 하락하는데 그쳤다. 지난 10월 9.24%p(39.85%→30.61%) 떨어진 것과 비교하면 안정세를 찾아가는 모습이다.
응찰자수와 입찰경쟁률은 오히려 증가했다. 서울지역 응찰자수는 전달(1108명)에 비해 134명 늘어난 1242명을 기록했다. 입찰경쟁률도 1.1명 증가한 6.03으로 제 2금융권까지 DTI 확대 시행 직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반면 경기와 인천지역의 경매시장은 아직도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지난달 경기지역 낙찰가율은 84.4%로 10월(88.49%)에 비해 4.09%p 하락했다. 지난 10월 낙찰가율이 0.72%p 하락한데 이어 2달 연속하락으로 낙폭이 더욱 커지는 모습이다.
낙찰률은 36.34%로 지난 10월과 비슷한 하락폭(-1.65%p)을 나타냈고 입찰경쟁률도 10월 보다 0.79명 줄어든 4.65명으로 지난해 11월(4.65명)과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인천지역도 낙찰가율이 전달(86.57%)보다 2.61%p 하락한 83.96%를 기록하며 3달 연속 하락세를 나타냈다. 낙찰률과 입찰경쟁률도 각각 3.22%p, 2.67명 감소하며 약세를 이어나갔다.
이정민 디지털태인 팀장은 "DTI규제로 경매시장이 급속히 냉각된 만큼 이에 따른 일시적 반등이 나올 가능성은 있다"며 "하지만 겨울철 비수기를 앞둔데다 경매시장을 회복시킬 만한 모멘텀이 없기 때문에 당분간 안정세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