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육성품종 보호권 등록 2000건 돌파

우리나라 육종가가 육성한 식물 신품종의 품종보호권 등록이 지난 10월말 현재 2000건을 돌파했다.

2일 국립종자원에 따르면 식물분야 지적재산권 제도인 품종보호제도가 도입된 1998년 이후 전체 품종보호권 등록건수는 2895건으로 내국인 2001건, 외국인 894건으로 내국인 육성품종이 전체 등록 품종의 69%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육성 등록품종을 유형별로 보면 국가기관이 1005건(50%), 종자업계 380건(19%), 지자체 318건(16%), 개인 224건(11%), 영농조합 등 기타 74건(4%) 순으로 나타났다.

작물군별로는 화훼류가 1634건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고, 식량작물 552건, 채소류 411건, 과수류 129건을 기록했다.

국내육성 품종 중 가장 많이 등록된 작물은 벼(218건)이며 다음으로 장미(155건), 국화(149건) 순이다.

아울러 국립종자원은 다가오는 2012년까지 품종보호 5대 선진국 진입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육성자의 권리보호를 위한 품종보호제도를 더욱 활성화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는 주요 품종보호 선진국인 EU, 네덜란드, 일본 등의 경우 자국민의 신품종 등록 비율이 80% 수준에 달하고 있어 신품종 육성에 대한 국내 민간부문의 역할을 높이기 위해 다각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는 올해 5월 1일자로 품종보호 대상작물이 전작물(딸기, 감귤, 나무딸기, 블루베리, 양앵두, 해조류 등 6종 제외)로 확대되면서 앞으로 품종보호권 등록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아주경제= 박재붕 기자 pjb@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