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오는 10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2.0%로 동결할 전망이다.
금리를 올릴 만한 뚜렷한 동기가 없는 데다 4분기 들어 경기회복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두바이 사태 등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하고, 부동산가격과 물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금리 인상을 주저하게 되는 대목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금리 인상 시기를 내년 1분기에서 하반기로 늦춰 예상하고 있다.
◆ 경기 회복 둔화와 잠재된 불확실성
올 2분기부터 빠르게 회복되던 국내 경제가 4분기 들어 급격히 꺾이면서 기준금리 인상 기대감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지난달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89로 전월 대비 3포인트 하락하며, 지난 2월부터 9개월간 이어온 상승세의 흐름을 끊었다.
지난 10월의 광공업생산도 전년 동월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쳐 9월(11%)에 비해 크게 줄었다. 전월 대비로는 3.8% 감소. 이에 따라 지난 9월 80%를 넘었던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한 달 만에 77.3%로 떨어졌다.
현재의 종합적인 경기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과 같은 96.9를 기록하며 7개월간의 오름세를 마쳤다.
가계경제의 불안은 기업보다 심각하다.
지난 9월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사상 최대인 712조7971억원을 나타냈다.
반면 이 기간 전국가구의 명목 근로소득은 월평균 227만6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 감소했다. 명목 근로소득이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가 나오기 시작한 2004년 이후 처음.
이에 소비자의 심리를 종합해 보여주는 소비심리지수(CSI)도 지난달 113으로 전월 대비 4포인트 하락하며 8개월 동안의 상승세에 마침표를 찍었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대출금리 인상이 불가피해 가계의 이자상환 부담을 키우고, 자연스럽게 가계 소비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소비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자생적인 경기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
또 지난달 터진 두바이 쇼크와 같은 돌발 악재를 아직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고, △국제유가등 원자재 가격 불안 △장기간의 고용불안 △기업들의 민간투자 기피 등도 경기 회복의 암초로 작용하고 있다.
◆ 기준금리 인상 내년 하반기에나
많은 전문가들은 내년 상반기까지는 경기 회복 곡선이 완만하게 늘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도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되는 내년 하반기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전효찬 삼성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경기 성장세가 내년 상반기까지는 지속적으로 둔화될 것"이라며 "이에 맞춰 기준금리도 내년초까지는 동결이 확실시 되고 경제 상황에 따라 내년 중반 이후부터 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용식 우리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와 관련된 부실이 계속해서 나올 수 있어 한은이 임시조치를 섣불리 거두기 쉽지 않을 것"이라며 "다만 세계경제 흐름과 국제적 공조를 맞춰야 하는 만큼 내년 하반기에는 금리를 올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장민 금융연구원 거시경제 실장은 "한은으로서는 물가나 자산가격면에서 불안 요인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 금리를 올리지 않을 것"이라며 "두바이 사태와 같은 경기 불확실성이 아직 남아있고 민간 투자가 얼마나 빨리 오를 지에 대한 불안감도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