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보험개발원이 ‘국산 승용차 모델별 수리비 평가’를 통해 최근 5년 내 국내 출시된 주요 신차 17대 수리비를 평가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16일 발표한 이 결과에 따르면 GM대우의 수리비가 대체로 낮았고, 르노삼성이 비교적 높았다.
먼저 준중형 차량 중에서는 GM대우 라세티 프리미어가 117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동급인 뉴SM3의 경우 268만원으로 2.3배나 높았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GM대우는 범퍼와 차체 사이에 충격흡수장치를 설치하는 등 설계를 개선해 수리비를 낮췄다”고 말했다.
이어 “타사 일부 차량은 일체형 부품이 많아 조금만 부서져도 통째로 바꿔야 했으며 부품 가격도 비쌌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중형급에서는 현대차의 NF쏘나타가 212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GM대우 토스카가 243만5000원, 뉴SM5는 280만8000원이었다.
대형급에서는 현대차의 그랜저TG가 285만5000원이었고, 같은 회사의 에쿠스 신형은 392만6000원이었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중에선 GM대우 윈스톰 맥스가 268만4000원, 르노삼성 QM5가 311만5000원이었다. 현대차 투싼ix가 364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수리비가 가장 낮은 차는 최근 출시한 GM대우의 경차 마티즈 크리에이티브였다. 이 차량의 수리비는 91만원으로 가장 높은 에쿠스와 비교하면 4분의 1에도 못 미쳤다.
준준형급인 현대차 아반떼HD(254만원)와 기아차 포르테(258만원), 르노삼성 뉴SM3(268만원)은 중형차인 현대차 NF쏘나타(212만원), 기아차 로체 이노베이션(219만원)보다 오히려 수리비가 많이 들었다.
보험개발원은 “수리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범퍼 충격흡수 성능을 높이고 수리용 부품이 분할 공급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또 저속 사고에서는 에어백이 펴지지 않도록 하는게 좋다”고 권고했다.
또 “지난 2007년부터 수리비에 따라 보험료도 차등 적용되므로 차량 구매시에도 수리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실험은 세계자동치가술연구위원회(RCAR) 기준에 따라 시속 15㎞, 10도 경사벽, 40% 엇갈림 충돌실험을 실시한 후, 손상 부위를 수리하는데 드는 비용을 평가한 것이다.
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nero@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