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대모비스는 지난 수년간 애프터서비스(AS)용 부품 판매와 모듈부품 제조, 핵심부품 수출 등을 추진하며 자동차부품 전문회사로 사업 역량을 집중해 왔다.
![]() |
||
전자시험동 내부 모습. 현대모비스는 지난 6월 현대오토넷 합병을 계기로 자동차 전장 제품 시장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제공=현대모비스) |
또 올 한해 중국과 인도 등 이머징마켓에서의 현대·기아차의 판매 호조를 바탕으로 지난 3분기 사상 최고 실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아울러 GM과 BMW, 크라이슬러 등 해외 주요 자동차 제조사에 잇따라 부품 수주 계약을 따내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부품기업으로의 발판을 다졌다.
그 밖에도 삼성LED와 자동차용 LED램프 공동개발에 나서고, LG화학과 친환경차용 배터리팩 생산 합작기업에 나서는 등 미래 신기술 개발에도 적극 나섰다.
친환경 자동차가 부각되며 하이브리드차 부품 생산 역시 활발했다.
현대모비스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핵심 부품인 전기모터와 통합패키지모듈(IPM)을 생산하는 의왕 공장을 향후 차세대 전기차 부품 생산 전초기지로 삼을 계획이다.
![]() |
||
현대모비스 섀시모듈 라인. 회사는 오는 2015년까지 섀시통합제어기술 등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을 50%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제공=현대모비스) |
회사는 오는 2012년까지 미래 전자화기술에만 1조2000억원의 연구개발(R&D)비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현재 매출의 30% 수준인 핵심부품 매출비중을 2015년까지 50%로 높인다는 목표다.
제품 고부가가치화 및 미래 지능형 자동차 개발에 나서며 세계 톱5 자동차 부품사를 꿈꾸는 현대모비스, 내년에는 또 어떤 활약을 펼칠지 주목된다.
아주경제= 김형욱 기자 nero@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