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총리, 용산참사 해결에 물밑 노력

'용산참사' 해결을 위해 물밑에서 음양으로 챙긴 정운찬 국무총리가 30일 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지자 이례적으로 보도자료를 냈다. 오랜 진통 끝에 협상이 타결된 데 대한 '환영' 입장을 표한 것이다.

자료를 통해 정 총리는 "우리 시대에 결코 있어서는 안 될 불행한 일이었다"며 "안타까운 일이 발생한 데 대해 총리로서 책임을 느끼며 다시 한번 유족들께 깊은 유감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정 총리의 이 같은 입장 표명은 유족들의 정부 사과 요구에 총리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사과를 한 것이라는 게 총리실 안팎의 평가다.

앞서 정 총리는 지난 9월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 용산참사와 관련한 질문에 "원인이 무엇이든 돌아간 분의 장례를 8개월간 못 치른 것은 안타깝고 안됐다"면서 "총리로 임명되면 좀 더 전향적인 태도를 취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취임 5일만인 추석 당일에는 주변의 만류를 뿌리치고 용산참사 현장을 전격 방문했다. 취임 이후 사실상의 첫 대외 행보를 용산에서 시작한 것이었다.

당시 그는 용산 유족들과 만나 "자연인으로서 무한한 애통함과 공직자로서 막중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눈시울을 붉혔고 "총리로서 사태 해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다만 그는 유족들에게 "중앙정부가 직접 나서기는 어렵다"고 전하며 정부 불개입 원칙을 재확인했다. 사태 해결의 주체가 유족과 서울시이기 때문에 총리가 해결사 역할을 맡을 순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었다. 이 때문에 그의 방문에도 불구하고 유족들이 가졌던 사태해결에 대한 기대감은 오히려 원망과 불신으로 바뀌고 말았다.

아울러 유족 방문 이후 정 총리는 '세종시 총리'라는 얘기가 나올 만큼 세종시 수정작업에 올인했다. 이로서 표면적으로 용산은 그의 뇌리에서 잊혀진 것처럼 보인 게 사실이다.

그러나 정 총리는 그 어떤 현안들보다 용산참사 문제에 강한 애착을 뒀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 문제가 "작은 소리를 크게 들으며 낮은 곳을 보듬고 흩어진 민심을 한 군데로 모으겠다"며 균형자 역할을 자임한 그의 정체성을 가장 잘 드러내 보일 수 있는 현안이었기 때문이다.

정 총리는 숨 가쁜 세종시 수정작업 와중에도 유족들과 약속한 대로 총리실에 용산 유가족 전담자를 두고 의견을 간접 청취하고, 그의 뜻을 지속적으로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