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1일 세종시를 교육·과학중심의 경제도시로 개발하는 내용의 수정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세종시에는 중앙행정부처 대신 삼성·한화·롯데 등 대기업군과 고려대·카이스트(KAIST) 등이 입주하게 된다.
세종시 건설 예정지 내 첫마을 2단계 아파트 건설공사 현장. 지난해 12월 30일 공사가 시작된 이후 중장비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이 같은 내용의 수정안이 발표되자 해당 지역 부동산 시장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현 정치권 상황처럼 찬·반이 극명하게 대비되지만 총 고용인원인 원안의 약 3배(24만6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수정안을 반기는 분위기가 좀 더 우세하다.
11일 충청지역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대기업들과 유명 사립대학들의 세종시 입주 얘기가 나돌기 시작한 이번달 초부터 부동산 시장의 분위기가 많이 바뀌기 시작했다. 특히 세종시 인근의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과 공주시 등 인근 지역 부동산은 관련 문의 전화가 급증하는 등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충남 연기군 조치원읍의 한 공인중개 관계자는 "이번 수정안 발표 전부터 관련 투자문의가 최근 끊이질 않았다"며 "서울 및 경기도권 투자자들의 문의가 많이 늘었다"고 말했다.
인근의 D공인 관계자도 "수정안 발표와 동시에 밀려드는 문의 전화로 정신이 없다"며 "현재 시세나 매물 또는 주변 미분양 아파트 등에 대해 물어본다"고 말했다.
이 처럼 세종시가 대기업을 유치하고 사업기간도 오는 2020년으로 크게 앞당겨지다 청주·대전·공주시 등 인근 지역도 영향을 받고 있다. 이들 지역에 쌓여 있는 미분양 아파트에도 문의나 계약의사를 밝히는 사람들이 최근 많이 늘어 난 것.
청주에서 아파트를 분양중인 S건설 관계자는 "처음 (세종시) 수정안이 발표되고 나서는 반대가 심했지만 메어저급 기업들이 온다고 하니 분위기가 변했다"며 "이번 겨울에는 비수기임을 체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분들이 모델하우스를 방문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아직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구체적인 추진 방향은 나왔지만 아직 정치적으로 해결이 안된데다 지역 주민들의 배신감을 달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설명이다.
연기군의 솔로몬공인중개 관계자는 "행정부처는 한 번 들어오면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다시 옮겨지기 힘들다. 그러나 기업은 그렇지 않다"며 "현지 주민들은 워낙 많이 속아서 이제 정부의 얘기를 쉽게 믿으려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특히 지난 정부의 행정중심복합도시 개발계획 발표때 투자했던 지역주민들은 현 정부의 원안 추진 불가 방침으로 큰 손해를 본 경험이 있어 쉽사리 투자에 나서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아주경제= 유희석 기자 xixilife@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