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세종시 수정 여론 향배 ‘촉각’
4월 국회 처리...민심이 최대 ‘관건’
6월 국회 처리…지방선거 결과가 ‘좌우’
세종시 수정안이 11일 발표되면서 정국이 또한번 격랑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수정안을 놓고 여야 대결은 물론, 여당내 친이(친이명박)계-친박(친박근혜)계 간 갈등이 겹치면서 정국이 한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안개속으로 빠져서다.
이에 따라 정부가 조만간 국회에 제출할 '행정 부처 이전 전면백지화'를 골자로 한 세종시 수정안의 처리 전망도 불투명한 상태다.
정치권은 우선 여론의 향배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집권 3년차에 접어든 이명박 대통령은 세종시 수정 여부가 집권 후반기 정국 주도권 확보의 주요 척도가 될 전망이며 차기 대권을 노리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입장에서도 세종시 원안 고수 원칙은 충청권 민심을 잡기 위해선 중요하다. 수권 정당으로 거듭나려던 민주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유지를 받든다는 차원에서 세종시 원안고수를 강력히 밀고나가야 하는 상황이다. 충청권을 거점으로 한 선진당도 마찬가지다.
이 때문에 세종시 수정의 여론 향배는 이들의 정치적 입지를 좌우할 최대 변수로 급부상하고 있다.
정부는 세종시 수정안의 2월 국회처리를 원하고 있지만, 여권은 이르면 4월 국회에서 처리한다는 입장이다.
김형오 국회의장은 이와 관련, “정부는 세종시 수정안을 국회로 갖고 오기 전에 거쳐야 할 과정과 단계를 철저히 거쳐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며 “국회는 빨라야 2월에 임시회가 소집되므로 지금 당장 서둘러 국회에 관련법을 제출할 이유가 없다”고 말해 사실상 2월 처리에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운명의 4월 국회에서 수정안은 도마에 오를 전망이다. 여권 주류는 지방선거를 앞둔 상황에서 행정수도 이전을 반대해 온 수도권 민심을 잡기 위해 수정안 처리에 박차를 가할 태세고, 친박계은 이에 맞서 치열한 샅바싸움을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야권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원안고수를 주장하며 ‘결사항전’에 나설 전망이다. 문제는 민심이다. 친박계가 최소 50여명인 상황에서 표대결 시 수정안 부결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민심이 어느 쪽으로 기우느냐가 최대 관건이다.
정치권에선 세종시 문제가 논란이 큰 사안인 만큼, 아예 개정안 처리를 6월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 국민의 심판을 받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6월 선거에서 한나라당이 패배한다면 세종시 수정안은 폐기되거나 수정론은 힘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가 현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이 짙어서 다시 동력을 모아 세종시 수정안을 밀고 가기엔 역부족이라는 관측이다. 반면 한나라당이 승리한다면 수정안 처리는 더욱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높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