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1일 세종시를 교육과학 중심의 경제도시로 전환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정운찬 총리는 이날 세종시 수정안을 통해 "세종시를 인구 50만명의 미래형 첨단 경제도시로 건설할 것"이라며 "기초과학과 원천기술,새로운 산업을 만들어 낼 중심축이자 21세기 전초기지로 창조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충청도는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폭설과 한파에도 행정도시를 사수하려는 도민들이 있는가하면 '세종시 발전방안'을 반기는 이들도 있다.
반대하는 입장에선 충청권 시민단체들이 큰 목소리를 내고 있다.
행정도시 무산저지 충청권비상대책위원회·연기군대책위원회·충남 공주시민대책위원회 등 원안사수를 위해 규탄집회 중이다.
연기군대책위원회는 이날부터 조치원역 광장에서 촛불문화제를 개최해 원안사수를 위해 힘 쓸 것이라고 밝혔다.
충청북도는 보도자료를 통해 ▲세종시의 기업쏠림 현상 ▲대기업 협력업체의 세종시 동반 이전 ▲도내 산업단지 신규 조성 불투명 ▲충북의 신성장동력 육성 차질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충북 실익 미미 ▲충주기업도시 조성 악영향 등을 우려했다.
찬성하는 입장에선 이번 세종시 수정안의 발전방안이 충청도에 실익을 줄것이라 예상했다.
남상우 청주 시장은 "세종시 찬반논란보단 지역발전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찬성입장을 표명했다.
이어 그는 "세종시에 우수한 대기업이 들어오면 청주권은 배후 산업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를위해 청주시 인근에 새로운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테크노폴리스 건설사업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충청남도는 보도자료를 통해 ▲주변지역발전을 견인하는 새로운 성장거점도시로 부상 ▲일자리창출 ▲지역경제활성화 및 국가 균형발전 등을 긍정적 시각으로 봤다.
그러면서도 충남도는 "국가 백년대계의 입장에서 차분하게 세종시 수정안을 논의해 국익과 충청지역발전에 도움이 되는 결론이 도출되길 원한다"며 "세종시 논란이 조기종식돼 세계적 명품도시 건설에 박차를 가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전했다.
한편 정운찬 국무총리는 이날 오후 5시쯤 대전지역 방송3사 공동으로 열리는 토론프로그램에 참가해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설명과 정부의 진정성을 호소할 예정이다.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