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총리, 넘을 산 다 넘었나

11일 세종시 수정안이 공개됐다. 9부2처2청의 정부부처 이전은 전면 백지화됐다. 대신 삼성 등 5개 대기업과 대학 유치로 ‘2020년 세종시’를 인구 50만명의 교육·과학·산업 중심 경제도시로 가꾼다는 야무진 계획을 내세웠다.

정운찬 국무총리의 움직임은 더 바빠졌다. 산을 넘자 더욱 큰 산이 나타난 것이다. 대국민 설득이 그것이다.

정 총리는 발표 후 하루 뒤인 12일 세종시 수정과 관련 “그동안 해온 이상으로 온 힘을 다해 (국민에게) 세종시 발전 방안을 설명하고 설득해 나가겠다”며 “우리가 정성을 다해 국민에게 열심히 설명하면 국민도 정부의 진정성을 믿고 지지해 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민주당 등 야당과 당내 친박(친박근혜)계가 극렬 반대하는 상황에서 유일하게 기댈 곳은 여론밖에 없다는 판단에 따라 대국민 여론 다잡기에 나선 것이다.

그간 정 총리는 충청지역 여론 설전에 고군분투 해왔다. 취임 후 여섯 차례에 걸쳐 충청권을 찾은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지역민들에게 직접 수정안을 설파하면 조금이나마 정부의 진정성을 알릴 수 있으리라.

이번 수정안 공개 후에도 곧장 대전을 찾았다. 대전MBC 대전·충남 지역 방송3사가 공동 기획한 세종시 대토론회에 참석했다.

이날 정 총리는 “세종시는 충청의 미래이고 충청권은 대한민국의 미래”라며 “세종시 발전방안을 통해 충청이 새롭게 도약할 수 있는 길을 열겠다”고 호소했다. 이어 “가난을 감당하기 어려웠던 부모 손에 이끌려 어쩔 수 없이 서울로 가게 됐지만 마음속에는 언제나 충청이 있었다”며 충청 출신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성난 민심을 달래기엔 여전히 부족했다. 토론회를 마친 정 총리 일행이 탄 버스로 계란이 날아든 것. 이날 토론회 녹화시간 전부터 모여든 일부 시민단체관계자들이 대전MBC 정문 앞에서 시위를 벌인 것이다.

이 같은 수모에도 정 총리는 당분간 여론 설득 작업에 주력할 방침이다. 후속 조치에도 박차를 가했다. 이번 주 내 삼성과 한화 등 세종시로 갈 4개 국내 대기업과 고려대와 KAIST 등 2개 대학과의 양해각서(MOU) 체결을 일괄 완료한다는 것이다.

우선 국회 방문 일정을 늘렸다. 그간 소홀했던 정치권 관계자들과의 만남을 서두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공무원 대상 설명회도 잇따라 개최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도 내부 역량 결집을 강조하며 수정안 후속 조치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현재 국토해양부는 세종시 추진지원단을 설치, 수정안을 토대로 관련법 개정과 자족기능 유치 상황 등에 대한 점검에 들어갔다. 이르면 이달 내 마련될 관련법 개정안은 다음 달 임시 국회에 제출될 전망이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