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화 되는 '야권 연대'

野5당 대표, 공식 만남 회수 늘어
'반(反) MB연합' 가능성 커져
실무적 부분에서 이견이 커...대타협 필요

야권 연대를 위한 야당의 물밑 접촉 횟수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 지방선거를 승리를 위한 '반(反)MB 연합'의 필요성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민주당·민주노동당·진보신당·창조한국당·국민참여당(가칭)은 구체적인 연대 방안 논의를 위한 실무기구를 구성키로 잠정 합의한 상태다.

야5당 대표들은 12일 시민사회 원로들과 함께 간담회를 가졌다. 최근 함께하는 자리가 부쩍 많아진 이들은 이날도 지방선거 가능성과 조건에 대한 논의를 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이날  "이명박 정권의 절대권력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무기가 통합과 연대"라며 "통합과 연대에 걸림돌이 되는 기득권이 있다면 과감히 버리겠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이명박 정권 심판의 대의아래 모든 것을 열어놓고 대화하겠다"며 "작은 이해관계에 얽매이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정 대표의 연대 주장은 지난 7일 신년 기자회견을 통해 '공동지방정부' 구성을 제안한 이후 또 한번 이뤄진 것이라 그 무게가 더했다.

다른 야당들도 민주세력 연대에 적극 동의하며 다양한 제안을 펼쳤다.

민주노동당 강기갑 대표는 "'반MB연대연합'은 시대적 요구이자 국민의 절박한 염원"이라며 "더 이상 당리당략에 얽매여 국민적 요구를 저버리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진보신당 노회찬 대표도 "더 이상 낡은 정치가 반복되어서는 안된다"며 "국민들에게 희망이 되는 연대를 만들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창조한국당 송영오 대표는 "정책 공조를 통한 정치세력과 시민단체들이 연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국민참여당 이병완 대표도 "지방연합 정부의 구성을 전제로 선거연합을 만들자"고 밝혔다.

이렇게 야5당이 민주세력 연대에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연대를 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큰 의미의 연대는 이견이 없지만 실무적인 사안에서는 서로의 입장차가 다르기 때문이다.

특히 '민주당 중심론'의 연대에 대해 민주당을 제외한 다른 야당의 이견이 매우 높은 상태다.

민주당 관계자는 "진보세력이 연대했을때 당의 지지도가 가장 높은 당이 전면에 나서는 것은 당연하다"며 "이는 연대의 승리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혔다.

반면 민주노동당 관계자는 "서로의 기득권을 철저하게 버리고 순수하게 연대하지 않으면 연대의 의미는 없다"며 "국민 선출 방식으로 연대 방식을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주경제= 팽재용 기자 paengme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