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이 지난해 10월 잠정 타결했던 핵협상안을 거부하고 수정을 요구하는 입장을 국제원자력기구(IAEA)에 공식 통보한 것으로 밝혀졌다.
IAEA가 있는 오스트리아 빈 주재 한 외교관은 이란이 잠정 타결안에 대한 거부 입장을 이달 IAEA와 협상 당사국들인 미국, 프랑스, 러시아에 서한을 통해 전달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란 핵협상 잠정 타결안은 이란이 저농축 우라늄을 무기급 핵물질로 정제하는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를 해외로 이전하는 대신 의학연구용 원자로에 필요한 핵연료를 제공받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란은 나중에 자국의 저농축 우라늄과 핵연료를 동시 교환하되 우라늄을 소량만, 그것도 자국 내에 보관하는 조건으로 바꿀 것을 주장하고 나섰으며, 미국 등은 이를 일축해 왔다.
이란의 거부 통보 사실이 알려진 후 필릴 크롤리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란이 전달한 게 공식 반응인지는 불확실하지만 분명한 것은 부적절한 반응"이라고 말했다.
한 서방 외교관은 "이란이 보낸 서한은 새로운 게 전혀 없기 때문에 아무 의미도 없다. 이란이 (언론을 통해) 말해온 것들을 공식화한 것일 뿐이다"고 말했다.
이란의 잠정 타결안 거부에 따라 제재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6일 뉴욕에서 이뤄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5개국과 독일의 6자회동에 대해 크롤리 대변인은 "우리는 (협상과 제재) 두 궤도를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는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회동에 상대적으로 하위급 대표를 내보냄으로써 제재 강화에 소극적인 입장을 시사한 중국측은 이날 관련 당사국들에 "유연성을 발휘해 관련 문제를 조기에 평화롭게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전날 이란의 마누체르 모타키 이란 외무장관은 뉴욕 회동에서 대이란 제재 강화가 합의되지 않은 것을 가리켜 "현실주의적 접근"이라며 환영하기도 했다.
한편 미국의 16개 정보기관이 최종 작업 중인 '국가정보평가(NIE)' 보고서는 이란이 핵무기 연구를 추진해오고 있으나 핵무기 프로그램을 완전하게 재가동하는 수준은 아니라는 수정 평가를 내놓을 것이라고 미국 정부 관계자들이 이날 밝혔다.
한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우리가 얘기하는 것은 연구 수준이라는 것이며, 이란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전속력으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