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100대 기업 중 59%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표준인 ISO 26000에 대해 대응책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가능경영원이 최근 국내에서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26일 발표한 '신무역장벽 ISO 26000에 대한 기업인식'에 따르면 ISO 26000에 대해 대응책을 완전히 갖췄다고 대답한 기업은 4.9%, '어느 정도 대응책을 갖추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36.1%로 나타났다.
'대응하지 않고 경쟁기업 동향만 파악하고 있다'는 기업도 36.1%에 달했으며, '대응하지 않고 있다'는 21.3%, '전혀 관심이 없다'는 1.6%를 각각 차지해 전체의 59%는 대응책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지배구조,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거래 등을 포함하는 ISO 26000은 올해 말 발표될 예정으로 쌍방간 거래에 있어 사회책임 활동에 관한 검증 기준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국내 대기업의 대응 수준이 낮은 이유로는 '구체적인 추진방법을 몰라서'라는 응답이 27.8%로 가장 많았으며, '경영층의 관심이 적어서'(16.7%), '시간과 예산이 부족해서'(16.7%), '효과에 대한 의문이 들어서'(5.6%), '전담 조직이 없어서'(5.6%)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조사대상 기업의 86.9%는 ISO 26000 제정이 추진되고 있는 것을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돼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기업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100대 기업의 59.0%가 '사회적 책임 활동 전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답했고, '별로 효과가 없을 것'이란 응답은 8.2%에 그쳤다.
지속가능경영원은 "ISO 26000은 지침 수준이지만 앞으로 우리 기업의 수출길을 막을 수도 있다"고 지적하고 "적용 대상이 기업뿐 아니라 정부, 시민단체, 노동, 연구기관 등을 포함하므로 이해관계자 간 역할과 책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아주경제=김준성 기자 fresh@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