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세포응용연구사업단 소속 고규영 카이스트 교수 연구팀이 지방조직으로부터 백혈병 등 혈액계 난치병 치료에 이용가능한 혈액줄기세포를 분리해 낼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방조직과 골수조직이 다양한 공통점을 갖는다는 점에 착안해 골수가 손상된 동물에게 지방 조직에 존재하는 비지방세포를 정맥주사한 후 이 세포로부터 유래한 혈액세포가 장기간 동물의 혈액 내에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했다.
주입한 지방조직의 비지방세포에 손상된 골수를 재생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혈액줄기세포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에 따라 보다 적은 비용으로 혈액줄기세포를 공급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회지인 블러드(Blood)의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아주경제= 김명근 기자 diony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