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로 달궈진 2월 국회 대정부질문 첫날

친박∙야당, 정총리와 가시 돋힌 ‘설전’
여권내 친이∙친박 세종시 놓고 대립각 격화

국회에서 4일 열린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은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찬반논란으로 후끈 달아올랐다.

특히 한나라당 친박(친박근혜)계는 수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가능성이 없다며 정운찬 총리를 벼랑 끝으로 몰아세웠다. 이에 정 총리도 “자리에 연연치 않겠다”며 세종시 수정입장을 고수해 여권내 분열이 최고조에 달했다. 본회의장의 여당 의원들 사이에선 “외부의 적(야당)보다 내부의 적(친박계)이 더 무섭다”는 말까지 나왔다.

첫 질문자로 나선 친박계 유정복 의원은 “세종시 수정론자들이 세종시 논란을 마치 ‘국익 대 신뢰’의 대결인 것처럼 호도∙왜곡하고 있다”며 “신뢰는 당연한 것이고 국가 백년대계 차원에서도 국토균형발전 문제를 무시할 수 없다”고 수정안 폐지를 촉구했다.

특히 “수정안이 국회에서 통과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이 경우 총리가 책임질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이에 정 총리는 “자리에 연연하지 않는다”며 “충청도민은 수정안을 지지하나 반대하는 의원들 때문에 의사 표출을 안하는 것으로 안다”고 물러서지 않았다.

나아가 “자기 정치집단의 보스가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찬반 입장이) 달라져 안타깝다”며 박근혜 전 대표와 친박계를 직접 겨냥하기도 했다.

야당과 정 총리의 정면 승부도 뜨거웠다.

21일째 단식중인 민주당 양승조 의원은 감정에 북받친 듯 ‘허수아비’ ‘세종시 세일즈맨’ ‘세종시 시장’ 등으로 정 총리를 규정하며 날선 비판을 가했다. 이에 정 총리는 “정치적 목적으로 사실이 아닌 것을 사실 것처럼 호도하는 것은 품격있는 의원의 자세가 아니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양 의원은 ‘행정부처를 이전하면 나라가 거덜날지 모른다’는 총리의 발언을 문제 삼으며 “이미 과천에 7개 부처가 있고 계룡대에 3군 사령부가 있는데 나라가 거덜난다는 근거가 무엇이냐”고 따졌고 정 총리는 “일부 부적절한 언어 사용은 사과한다”면서도 “중앙부처가 분산돼 있으면 국가 안위와 관련된 중요한 사항에 대해 신속한 결정이 어렵다”고 수정입장을 고수했다.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도 “세종시 원안 포기로 현 정권은 거짓말과 약속 바꾸는 정권이 됐다”며 “지난 1964년부터 정부및 공공기관 이전은 14차례 계획이 수립됐으며 과천∙대전 등으로 중앙정부를 옮겨왔다. 세종시로의 부처 이전을 수도분할이라고 하는 것은 망발”이라고 지적했다.

이날 본회의에서는 세종시문제를 둘러싼 한나라당내 친이(친이명박)계와 친박계간 논리대결도 치열했다.

친박계 이학재 의원은 “세종시 원안 추진은 국토균형발전과 수도권 과밀 해소에 도움이 된다”며 “원안 추진을 중단하는 것은 국토균형발전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친이계인 김용태 의원은 “소위 원안이라 불리는 세종시법, 수도분할론은 가치가 될 수 없고 그저 표를 겨냥한 야합의 산물이자 사생아일 뿐”이라고 반박했다.

임동규 의원도 “세종시가 발전하기 위해선 행정부처 보단 기업이 가는 게 옳다”며 “행정부처 분할은 국가 중대사태 발생 시 비효율만 유발시켜 헌법에도 위반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