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안에 상대적 취약계층인 노인 일자리 18만6000개를 창출하기로 했다.
보건복지가족부는 노인들의 소득보충과 사회참여를 위해 공공분야 16만6000개, 민간분야 2만개의 노인 일자리를 공급한다고 16일 밝혔다.
복지부 관계자는 “공공분야 중 3만개의 일자리는 노동강도·사업유형에 따라 근로시간·임금을 탄력 운영키로 했다”며 “이미 1월부터 사업계획 신청·심사, 참여노인 모집을 추진해 3월까지 17만3000개의 일자리를 조기 집행하겠다”고 말했다.
공공분야는 유적지 관리원·아동안전보호원 등 노노(老老) 케어(건강한 노인이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보살펴주는 사업)·문화재해설·아동안전보호 사업 위주로 일자리를 제공한다.
지역사정에 밝은 노인들은 또 올해 시범사업인 묘지실태 파악에 조사보조원으로도 활동할 기회가 열린다.
민간분야에서는 지난해까지 일부지역에서 시행한 아파트 택배사업을 전국 단위로 확대 추진한다.
아파트 택배는 택배사 영업소에서 아파트단지 거점으로 이송한 물품을 노인이 개별 배송하는 사업이다.
이밖에 정부는 노인생산품 공동브랜드 ‘은모닝’ 개발, 지난달 개점한 전문 온라인쇼핑몰 ‘하나하나몰’ 활성화도 역점을 둘 계획이다.
아주경제= 감혜림 기자 kam8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