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의 차기 회장으로 어윤대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장이 급부상하고 있다.
어 위원장은 차기 한국은행 총재로 거론되고 있는 인물로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이기도 하다. 금융권은 어 위원장이 KB금융의 차기 회장으로 낙점될 경우 낙하산 인사는 물론 관치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21일 정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의 차기 회장에 어윤대 위원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KB금융은 금융권을 휩쓸었던 '신관치' 논란의 중심지. 그만큼 차기 회장이 누가 되느냐에 금융권의 촉각이 곤두서 있는 상태다.
어 위원장은 최근까지 유력한 차기 한은 총재 후보로 꼽혔다. 현 정권 차원에서 이성태 한은 총재의 후임으로 점찍었다는 말이 공공연히 나돌았다.
그러나 부동산 투기 문제가 어 위원장의 발목을 다시 잡았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중앙은행인 한은 총재 자리를 놓고 어 위원장의 부동산 투기 규모가 예상보다 큰 것으로 밝혀지면서 이명박 대통령의 심기를 건드린 것으로 알려졌다.
어 위원장은 현 정부 초대 교육부장관으로 내정됐던 당시에도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해 황영기 전 회장이 우리은행장 재직 시절 파생상품 투자손실과 관련 사임할 당시 이미 어 위원장이 KB금융 회장 자리를 권유받았다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당시 어 위원장이 한은 총재 자리를 고수하면서 정부 차원에서 이철휘 자산관리공사 사장과 김병기 전 삼성경제연구소 사장을 밀었다는 것이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7일 KB금융 회장 인선과 관련 "관(官) 출신이 가는 일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말한 것도 어 위원장의 KB금융 회장설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어 위원장은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위원과 한국금융학회장·고려대학교 총장·국제금융센터 소장·예술의전당 이사 등을 거쳐 지난해 대통령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했다.
이른바 모피아로 상징되는 재정부 출신이 아니라는 점이 정부 차원에서 관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배경이라는 평가다.
어 위원장 입장에서도 국내 최대 금융지주사인 KB금융 회장 자리를 마다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시각이다.
정치권 고위 관계자는 "어 위원장의 부동산 문제는 참여정부 때도 거론됐고 현 정부에서 입각을 하지 못한 사유였다"면서 "개인적으로 한은 총재 자리가 아쉽기는 하겠지만 현 상황에서 KB금융 회장 자리를 거절할 이유는 특별히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어 위원장이 KB금융 회장에 선임되더라도 관치 논란은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재정부 출신은 아니지만 이 대통령의 고대 경영학과 후배로 두터운 신임을 받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지난 2007년 하나금융지주의 사외이사를 맡기는 했지만 금융기관의 실질 경영에 참여한 경험이 없다는 점도 부담이다.
KB금융의 지분 50% 이상을 들고 있는 외국인 주주들이 관치 논란에 부정적이라는 사실 역시 어 위원장에게는 넘어야 할 산이다.
한 외국계 투자기관 고위 관계자는 "황영기 전 회장 사임 때부터 KB금융에 대한 외국인들의 시각은 곱지 않았다"면서 "배경에 상관없이 금융권에서 실무 경험이 없는 인물이 회장 자리에 오르는 것을 외국인 투자자들이 반기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KB금융은 오는 3월26일로 예정된 주주총회 이후 본격적인 회장 인선 작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주총에 앞서 강정원 국민은행장과 4명의 사외이사로 구성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사외이사 후보 3명을 뽑는다.
새로운 사외이사 후보는 3월 초 이사회에서 정해진 뒤 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친다. 이후 이사회가 새로 꾸려지면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구성되고 차기 회장 인선 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아주경제= 민태성 기자 tsmin@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