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식형 펀드의 주간 수익률이 4주 만에 상승했다. 지난 주에 하락했떤 해외 주식형펀드도 이번 주에는 상승했다.
20일 펀드 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19일 오전 설정액 10억원 이상 일반 주식펀드 471개의 주간 수익률은 1.39%를 기록해 4주만에 플러스 수익률로 돌아섰다.
코스닥 시장과 소형주가 상대적으로 선방하면서 중소형 가치주 펀드들도 강세를 나타냈다. 중소형주펀드(17개)도 1.63% 수익을 냈다.
코스피200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114개)는 1.54%, 배당주식펀드(33개)는 1.39% 상승했다.
IT업종에 투자하는 테마 펀드들과 반도체 관련 지수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들도 성과가 좋았다.
펀드별로는 주가 상승이 예상되는 20~30개 종목에 집중 투자하는 'NH-CA대한민국베스트30 [주식]Class C 펀드'가 2.90%의 수익률로 가장 성과가 좋았다. 이어 '미래에셋맵스TIGER SEMICON 상장지수 펀드'와, '삼성코덱스 상장지수펀드'도 각각 2.68%와 2.58%의 수익을 냈다. 'KB밸류포커스자(주식) 클래스A펀드'도 주간수익률이 2.65%로 선방했다.
해외 주식펀드는 지난 한주간 1.72% 수익률을 기록했다.
달러화 약세로 국제유가와 금속가격이 상승하면서 해외주식펀드들이 일제히 상승했다.
특히 기초소재섹터펀드(5.31%)와 남미신흥국주식펀드(4.39%)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러시아 주식펀드는 에너지관련주의 강세로 3.73% 올랐고 브라질 주식펀드도 국제상품가격 상승으로 3.60%의 수익을 냈다. 중국과 인도 주식펀드는 0.67%와 1.40% 상승하는데 그쳤다.
채권시장은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해소됨에 따라 강세를 보여 일반 채권펀드는 한 주간 0.17% 수익을 냈다. 중기 채권펀드는 0.23%, 우량 채권펀드는 0.17%, 초단기 채권펀드와 하이일드 채권펀드는 각각 0.08%와 0.17% 수익률을 기록했다.
일반주식혼합펀드(67개)와 일반채권혼합펀드(216개)의 주간 수익률은 각각 0.85%와 0.51%로 집계됐다.
아주경제= 고득관 기자 dk@ajnews.co.kr(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