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판매사 이동제 시행 1달여 만에 갈아탄 판매 펀드 규모가 1000억원을 상회했다. 하루 평균 이동건수도 300여건에 육박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펀드 이동제는 펀드투자자들이 추가 비용이나 별도의 환매절차없이 판매사를 바꿀 수 있는 제도다. 이 제도는 은행, 증권, 보험 등 금융투자업계의 수수료 인하 경쟁을 유도해 투자자들의 수수료 부담을 해소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21일 증권업계와 예탁결제원 등에 따르면 펀드판매사 이동제가 시행된 1월 19일부터 지난 19일까지 4주간 판매사 이동 펀드는 모두 1003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판매사 이동건수는 총 5426건 이었다. 하루 평균 286개 펀드의 판매사가 변경된 꼴이다.
전주에는 사흘 연속 400건을 웃돌았고, 지난 19일에는 최대 건수인 462건이 이동했다.
업계는 당초 예상과 달리 판매사 이동제가 본격적인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다. 금융당국이 업계 과당경쟁을 규제하겠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어 증권업계와 은행업계가 서로 눈치 보기를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
그러나 증권사들이 최근 펀드 판매 라인 구축에 가속도를 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증권사는 상대적으로 펀드를 포함한 종합자산관리에 강점이 있기 때문에 펀드판매사 이동제의 최대 수혜자로 기대되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동양, 대우, 대신, 우리, 삼성, 신한금융투자, 한국, 현대 등 8개 증권사가 판매하는 공모형 국내 주식펀드 가운데 판매사 이동이 가능한 펀드는 19일 기준 1191개로 지난해 말 687개에 비해 73.4% 급증했다.
펀드이동제 도입 논란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던 작년 3분기 말 603개와 비교하면 갑절 가까이 늘어난 것.
특히 작년 4분기 중 603개에서 687개로 13.9%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펀드이동제 시행 전후로 증권사의 영업라인 구축이 급속도로 진행됐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최근 펀드 판매사 이동이 가능한 펀드를 위주로 영업라인을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 펀드 사후관리 강화 등을 통한 대고객 서비스 차별화에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전했다.
은행권도 펀드관리 서비스 강화를 통해 기존 고객 지키겠다는 전략이다.
한 시중은행 PB담당자는 "기존 펀드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며 "프라이빗뱅킹(PB) 센터뿐 아니라 일반점포에서도 타 사와 차별화된 고객펀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문진영 기자 agni2012@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