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국무총리가 세종시 관련 언급을 중단했다. 대신 미뤄뒀던 국정현안을 챙기는 데 주력하는 모습이다. 이른바 ‘세종시 총리‘라는 꼬리표를 떼어내기 위한 작업에 속도를 낸 것이다.
22일 정 총리는 총리실 내부 기강 점검에 나섰다. 공교육 강화, 일자리 창출 등 미래과제에 매진하기 위한 기강다지기 차원에서다. 그간 세종시, 용산참사 등 굵직한 정치적, 사회적 현안 해결에 앞장섰던 데서 한 발짝 더 나아간 것. 이와 함께 정무기능도 강화했다.
정 총리는 이날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우리 모두가 관성과 타성에 매몰된 것은 아닌지 스스로 반성하고 고민하면서 바꿀 것은 과감하게 바꾸도록 하자”고 말했다.
이어 "저 스스로를 되돌아보고자 한다"며 헌법86조(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을 받아 행정각부를 통할한다)가 자신에게 부여한 총리의 임무와 역할을 돌이켰다.
내부 보고 체계가 미흡한 점에 대해서도 질타했다. 정 총리는 대통령 주례보고를 비롯한 각종 보고와 회의·발표 자료를 48시간 전에 자신과 상의하고 24시간 전에는 초안을 보고해 줄 것을 주문했다. 각종 논란에도 불구하고 김유환 전 국정원 경기지부장을 정무실장에 임명, 정무기능도 강화했다.
이와 함께 정 총리는 앞으로 일자리 창출과 교육 개혁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 국가경쟁력 제고에 초석이 될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교육제도 개선 등의 과제를 국정 핵심 아젠다로 설정키로 한 것이다.
이 같은 정 총리의 움직임은 지난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연일 세종시 수정안을 놓고 정치권 여야 의원들과 논쟁을 벌였던 모습과는 크게 대조된다. 세종시 수정안 처리가 사실상 국회로 넘어간 만큼 이제는 총리 본연의 업무에 더 힘을 기울이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특히 최고의 경제학자, 서울대 개혁을 이끈 교육 전문가 출신의 정 총리가 강점을 가진 교육문제 해결에 주력해 성과를 내겠다는 방침이어서 세종시 총리 이미지를 벗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일 지 주목된다.
아주경제= 차현정 기자 force4335@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