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현대엘리베이터는 최근 손글씨로 층수를 입력하는 일명 손글씨 입력 방식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엘리베이터에 적용했다. 이 방식은 이용자가 손으로 터치스크린에 '23'을 쓰면 23층이 등록된다. |
엘리베이터에도 터치 열풍이 거세다. 호출에 필요한 푸쉬(Push) 버튼이 사라지고 그 자리를 터치(Touch)가 대신하고 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최근 손글씨로 층수를 입력하는 일명 손글씨 입력 방식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엘리베이터에 적용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방식은 이용자가 손으로 터치스크린에 '23'을 쓰면 23층이 등록된다.
회사 측은 터치스크린ㆍ터치패드 등 IT 기술이 엘리베이터에 접목된 결과라며 세계 최고 높이의 현대 아산타워에 손글씨 입력 방식을 시범 설치해 방문자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는 이러한 터치형 엘리베이터는 크게 층수 입력 방식과 '1'부터 '0'까지의 숫자를 조합해서 입력하는 텐키(Ten-key,) 방식이 있다.
터치형은 (승ㆍ하강 버튼과 카내 버튼을 과감히 생략하고 한 번의 터치로 엘리베이터 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특히 붐비는 엘리베이터 안에서 자신이 가고자 하는 층의 버튼을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사라진다. 또한 카내외부에 버튼이 없기 때문에 정돈되고 세련된 느낌의 미려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어 건물의 이미지를 차별화하는데 용이하다.
대기 및 탑승시간을 대폭 줄여 약 20%의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다. 승강장에서 미리 등록한 다양한 승객들의 행선층을 계산해 가장 빠른 시간 내에 이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알려주는 ‘행선층 예약시스템’과 연동되기 때문이다.
송진철 현대엘리베이터 사장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터치형은 디지털과 쉽게 결합해 승강기 운용이나 이용 패턴까지 변화시키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IT 기술을 활용해 관련 제품과 디자인의 지속적인 혁신을 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주경제= 김병용 기자 ironman17@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