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 재편을 위한 시중은행 간 인수·합병(M&A)이 진행될 경우 최대 1만명의 은행원들이 구조조정 대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은 '정부의 금융산업 정책 진단' 보고서를 통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1~2개 글로벌 지향 대형은행과 3~4개 중형 은행 재편 과정서 은행 간 M&A는 필수"라며 "자산규모 400조~500조원 대의 초대형 은행을 만들기 위해 우리은행을 국민은행이나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과 합병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M&A 과정서 점포와 직원의 중복 문제가 심각해져 합병에 따른 시너지 효과는 제한적일 것이며 은행들이 합병 이후 경비축소를 위해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예컨대 우리은행과 국민은행이 합병할 경우 총자산은 499조원으로, 점포와 임직원 수는 각각 2140개, 4만6089명으로 불어난다. 하지만 중첩되는 지점 및 업무를 효율화하기 위해 직원을 20%와 30% 감축할 경우 각각 9218명과 1만3827명이 구조조정 대상이 될 수 있다.
우리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간 합병 후에도 5600~9000여명의 인력이 감축될 수 있다.
우리은행이 신한은행과 합치면 자산 479조원에 점포수 1921개, 직원수 3만1924명으로 늘어난다. 우리은행과 하나은행이 결합되면 자산규모는 394조원과 1559개의 점포, 2만8446명의 직원을 거느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질적 역량이 갖춰지지 않은 상황서 인위적으로 은행 대형화를 추진하면 시너지 효과 등의 긍정적인 결과보다 독과점 등 여러 가지 폐단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호주의 ANZ은행은 2005년 말까지만 해도 국내 대형 은행보다 규모가 크지 않았지만 글로벌화와 해외은행 합병 등으로 대형화가 진전됐다"며 "우리 정부의 은행 대형화 추진 전략처럼 자산규모만 강조하고 시너지 효과 등을 고려하지 않으면 시행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보고서는 지방은행의 경우는 경남은행과 대구은행, 경남은행과 부산은행 간 합병 가능성이 큰 것으로 봤다. 또 같은 호남권 은행인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합병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점쳤다.
보고서는 지방은행 간 M&A도 10~20%의 인력 구조조정을 유발할 수 있으며 대상 직원은 250~1000명 수준이 될 것으로 관측했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