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하반기부터 대민지원 '모바일 전자정부(m-거버먼트)' 서비스가 제공 된다.
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이 달 중에 모바일 전자정부 기본 계획 수립을 마무리하고 이르면 하반기부터 대민지원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또 내부 행정 업무와 기업 지원 업무는 보안 문제를 해결한 후 단계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모바일 전자정부는 일반 국민과 기업이 무선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휴대폰을 통해 정부와 관련된 각종 업무 및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정부 서비스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무선인터넷을 활용한 대민(G2C)·산업(G2B)·행정(G2G) 지원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행안부는 이날 부서별 정보화 담당자들과 한국정보화진흥원(NIA) 등 관련 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과 관련된 첫 회의를 열었다.
그동안 부처 및 부서별 담당자들이 모바일 전자정부에 대해 논의 한 적은 있으나 관련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모바일 전자정부 구축을 위해 선결해야 할 보안 문제와 함께 각 부처 및 부서, 산하 기관들의 사업방향을 조율했다.
행안부는 향후 각 행정기관의 수요와 표준화 등을 논의하고 이달 중으로 기본 계획 수립을 마무리 하기로 했다.
행안부 고위 관계자는 "기본 계획이 수립되면 일차적으로 보안 문제가 없는 대민 지원 서비스를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후 표준화 등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공동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행안부는 이와 함께 공공모바일센터를 개설해 공공정보를 개방하고 이를 통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밖에 방송통신위원회는 NIA와 함께 각 정부 산하기관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지식경제부도 모바일 대민 지원 서비스를 강화할 방침이다.
IT업계는 이같은 모바일전자정부 구축과 이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및 솔루션 시장이 수천억원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의 m-거버먼트 사업을 놓고 IT기업들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정부와 기업 등에 관련 기반 시설 구축을 제공해 온 IT서비스 기업들의 수주전이 활발히 펼쳐질 전망이다.
이미 각 부처 정보화 실무담당자들이 IT서비스 기업 관계자들과 만나 관련 사업 추진 방침을 밝히며 사업 참여를 독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e-거버먼트 주요사업을 구축했던 삼성SDS는 m-거버먼트로의 전환사업에도 적극 참여할 방침이다.
LG CNS와 SK C&C도 모바일 전자정부 전환 사업에 관심을 보이며 사업 참여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모바일 사업 추진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대우정보시스템 등 중견 IT서비스 기업들도 관련 기반 기술과 애플리케이션, 솔루션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아주경제= 김명근 기자 diony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