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욱 한게임 대표 대행 | ||
정욱 한게임 대표 대행은 5일 제주 해비치 호텔에서 열린 ‘한게임 익스 2010’ 컨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최근 게임 과몰입의 부작용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연이어 불거지면서 게임업계 전체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며 “한게임도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한게임은 웹보드 게임의 하루 이용시간을 10시간으로 제한하는 그린캠페인과 함께 유저 프로텍션 프로그램(UPP)을 도입·시행하고 있다.
게임 유저가 한달간 얼마 만큼 많은 시간을 웹게임에 소비하고 있는지를 조사해 과몰입 정도를 7단계로 나누고 단계가 높은 유저들을 대상으로 전화 상담 및 병원 치료를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한게임은 이같은 웹보드 유저 과몰입 방지 시스템을 이날 공개한 작품을 포함한 일반 게임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특히 이번에 공개한 게임 대부분이 하드코어 장르로 몰입도가 높다는 점에서 이 같은 UPP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게 정 대표 대행의 설명이다.
한게임은 이와 함께 사행성 논란을 불러일으킨 고스톱·포커류(고포류) 웹보드 게임 사업 비중을 축소시켜 나갈 방침이다.
기존 게임의 리뉴얼 외에는 신규 고포류 콘텐츠 추가를 전혀 계획하고 있지 않다는 설명이다.
정 대표 대행은 “한게임은 지난해부터 신규 고포류 게임을 출시하지 않고 있다”며 “지난해 2분기부터 웹보드 게임의 성장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라고 말했다.
이처럼 웹보드 게임 매출 비중을 줄이는 대신 'C9'과 '테라' 그리고 이날 공개한 퍼블리싱 게임을 통해 성장을 지속한다는게 정 대표 대행이 제시한 한게임의 로드맵이다.
유저 몰입도가 높아 세계적으로 가장 수익성 높은 장르로 꼽히는 역할수행게임(RPG), 일인칭슈팅(FPS)게임, 스포츠게임 부문에 초점을 두고 퍼블리싱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써드파티를 통한 퍼블리싱 라인업 확보는 물론 유망 게임 개발사에 대한 투자 및 인수를 고려 중이다.
웹브라우저게임과 아이폰을 포함한 스마트폰 등 신규 플랫폼 공략을 강화하는 것도 신규 캐시카우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이다.
이번 행사에서 공개된 두종의 웹게임을 시작으로 브라우저 기반 게임 타이틀을 늘려나갈 계획이며 PC온라인 기반의 한게임 타이틀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용 게임 타이틀과 게임 주변 엔터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보급할 계획이다.
현재 모바일 게임 개발 인력을 충원하고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사에 대한 투자 및 인수도 고려하고 있다.
한편 한게임측은 휴직중인 김정호 대표의 거취에 대해서 "NHN에 복귀한다 해도 한게임 부문을 담당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정 대표 대행이 정식 대표로 선임되는 것과는 다른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제주= 김명근 기자 diony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