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이미지 센서의 성능 및 응용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해외로 이전돼 기술료 수입이 예상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1세기 프론티어사업' 나노메카트로닉스사업단의 지원을 받은 한국기계연구원 정준호 박사팀이 나노스펙트럼센서 양산용 30나노미터(nm)급 나노임프린트공정기술을 미국 기업에 기술인전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미지센서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전화, PDA, 노트북 등 다양한 제품에 장착돼 디지털 영상을 얻는 반도체소자로서 가장 빨리 성장하는 반도체시장 중 하나다.
교과부에 따르면 이미지센서에 정 박사팀이 개발한 나노임프린트공정으로 제작한 나노필터어레이를 장착해 나노스펙트럼센서를 제작하면 기존 이미지센서의 감지 범위를 최대 10배 이상 넓히게 된다.
또 기존의 이미지센서를 주·야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성이 다른 두개의 센서가 필요했던 것을 한개의 센서로 사용할 수 있어 자동차나 보안장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내시경을 이용한 검사에서도 일반 이미지센서로는 구분이 가지 않던 이상 부위를 손쉽게 발견할 수 있는 등 개인건강상태 모니터링에도 사용될 수 있다.
교과부 관계자는 "이번 기술은 정액기술료 1억원과 순매출의 1.6%를 경상기술료로 받는 조건으로 나노람다㈜에 이전됐으며, 향후 5년내 관련 시장규모가 1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상당한 기술료 수입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배충현 기자 ba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