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과 교육의 융합으로 인한 서로의 장점을 살리면서 녹색기술과 관련 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출연연과 대학이 힘을 모은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학·연 협력을 통해 27대 녹색기술 구현에 공통으로 기여할 기반기술개발과 융합녹색 전문인력 양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기반형 융합녹색연구'를 사업을 본격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에너지·환경 분야 등 녹색기술 및 산업 분야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표준기술 개발과 함께 이를 매개로 융합마인드를 갖춘 석박사급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특히 기존 대학-출연연 간 또는 대학-대학 간 칸막이를 허물고 다양한 교류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학연협력모델 정착시키고자 하는 개방형 융합연구라는 게 특징이다.
그간 전문가 검토를 통해 27대 녹색기술의 기반이 될 1000여 건의 후보기술 중 융합성, 원천성, 파급효과 등을 기준으로 국가적 시급성이 높은 6개 중점과제를 도출했으며, 이 가운데 올해 우선 1개 과제를 선정·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융합녹색기술 동향, 관련 특허 및 시장 수요의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기술의 시장성ㆍ가치 분석, 발전전략 등을 자문할 융합녹색 전략연구기획단도 선정·운영할 계획이다.
또 이번 사업은 출연연과 대학이 서로의 역할분담을 통해 기반기술 개발을 전담하는 중심기관(Hub)과 기술적 난제 수행, 인력양성을 담당하는 연계기관(Spoke)으로 융합연구단을 구성하게 된다.
융합연구단은 오는 2015년까지 연구단별 1개 이상의 원천특허를 확보하고 약 400명의 전문 융합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항식 교과부 기초연구정책관은 "다학제 융합연구단은 중심기관(1개)과 연계기관(2∼4개)으로 구성, 국내에서 지금까지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연구체제"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녹색기술분야의 플랫폼형 기술은 로봇, 자동차, 환경감시, 신재생에너지 등 관련 산업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