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영리 기자) 아이폰을 시작으로 국내 시장에 불던 스마트폰 열풍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다.
현재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세는 지난해 스마트폰 출시 초반에 비해 주춤한 상황이다.
20~30대 일부 얼리어답터(초기수용자)들을 중심으로 스마트폰 가입자가 늘어났지만, 여전히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스마트폰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데다 위약금, 한정된 단말기 등의 문제로 본격적인 증가세에 탄력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3월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세는 연초 대비 절반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12월부터 늘기 시작한 스마트폰 가입자는 70여만명에서 지난 2월 125만여명으로 가파르게 증가했다. 3개월 만에 100만 스마트폰 가입자 시대를 연 것이다.
KT의 아이폰이 4개월 만에 50만대를 넘어섰고, 옴니아2 시리즈도 5개월 만에 50만대를 돌파하며 국내 스마트폰 시장 성장세를 이끌었다.
하지만 지난달 들어서는 5만여명 늘어난 130만여명에 그쳤다. 여전히 전체 이동전화 시장의 3%에 불과한 수준이다.
현재 상황에서는 이동통신업계가 목표로 한 올해 500만 스마트폰 가입자 확보는 장담하기 힘들어졌다.
스마트폰 가입자가 500만명을 넘어서더라도 전체 5000만 가입자의 10%에 불과하다.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세가 주춤한 이유는 얼리어답터를 제외한 90% 이상에 달하는 이용자들이 일반 휴대폰보다 요금이 비싸고 사용하기 어렵다는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은 80만~90만원대 가격으로 일반 휴대폰에 비해 고가다. 통신사 보조금을 통해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4만~10만원에 이르는 스마트폰 요금제에 2년 동안 묶여 있어야 한다.
의무약정제도 스마트폰 성장세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지난해 스마트폰 시장이 활성화되기 전에는 80만~90만원대에 이르는 고가 풀터치폰이 대세였다. 이때 풀터치폰을 구입하면서 2년간 약정을 걸어둔 일반 휴대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으로 변경하고 싶어도 위약금을 물어야 하기 때문에 망설이고 있다.
이와 함께 아이폰, T옴니아2 이외의 스마트폰 단말기 종류가 한정돼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히고 있다.
모토로라의 모토로이와 LG전자의 안드로-1 등이 출시됐지만 기대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무선인터넷 활성화 대책으로 내놓은 이통업계의 마케팅 비용 제한 규제도 스마트폰 성장세에 발목을 잡고 있다.
이통사들의 올해 마케팅 비용을 총 매출의 22%로 제한하면서 스마트폰 보조금 축소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가입자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얼리어답터 중심의 스마트폰 성장세가 한풀 꺾인 상황"이라며 "90%에 이르는 일반 휴대폰 사용자들을 스마트폰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업계의 지속적인 노력과 함께 정부의 지원이 한층 강화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miracl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