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硏 "민간 부문 고용지표 착시효과 주의"


(아주경제 강하수 기자) 삼성경제연구소 손민중 수석연구원은 20일 `최근 고용현황 진단 및 평가' 보고서에서 "최근 민간 부문의 고용지표에 착시효과가 있다"고 지적했다.

손 연구원은 "지난달 민간 부문 일자리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9만2000개나 늘었는데, 이는 상당 부분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며 "지난해 3월 금융위기의 여파로 26만4000개 감소했던 것과 비교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손 연구원은 "지난달 민간 부문 일자리는 2월과 비교하면 4만5000개 감소해 지난해 9월 6만2000개 감소한 이후 5개월 만에 전월 대비 감소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 부문의 일자리는 지난달 2239만8000개로 금융위기 이전 수준인 2008년 3월(2247만개)에 못 미치는 상황"이라며 "민간 부문의 일자리 회복이 탄력적이지 못해 하반기에 공공 부문 일자리 창출력이 약해지면 고용 회복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최근 일자리 창출은 50대 중고령 계층에서 주도하는 반면, 청년층 일자리는 올해 들어 감소세로 반전해 3개월 연속 전월 대비로 줄었다"고 말했다.

그는 "전체 고용의 89.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이 고용을 동반한 성장을 이뤄야 한다"며 "중소기업 경영자와 구직자의 만남을 주선하고 지방 중소기업이 함께 대학에서 구인활동을 하도록 지원하는 한편, 청년층의 창업 아이디어를 사는 데 정책자금의 일부를 투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k19192000@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